"도대체 왜, 논란 많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품고 가려고 하는지."
강 후보자 임명 문제는 여의도 정가의 화두다. 야당은 물론 여당 내부에서도 임명 강행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낙마 사례처럼 부적격 논란을 빚은 인물은 교체하는 것이 국회 인사청문회 정신에 부합한다. 무리하게 임명할 경우 국정 동력에 부담을 안겨줄 수밖에 없다는 것은 정치 역사를 통해 여러 차례 증명됐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22일 강 후보자에 관한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을 예고했다. 여가부 장관 임명 수순을 밟겠다는 의미다. 국민의힘은 임명을 밀어붙이더라도 장관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엄포했다.
대통령실은 임명 강행의 뚜렷한 이유를 밝히지는 않았다. 대통령 인사권에 관한 사항이라는 설명만으로는 의구심을 해소하기 어렵다. 다만 실용주의·능력주의를 표방한 인선 원칙에 비췄을 때 업무 능력 평가가 영향을 줬다는 분석은 있다. 이른바 '친명(친이재명계)'으로 분류되는 강 후보자는 지난 대선 때 TV 토론을 전담하고 외신 인터뷰를 주선했다. 가족학 박사 출신으로 여성·가족 정책을 책임질 전문성도 갖췄다는 평가다.
이재명 정부가 여가부를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할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전문성은 물론 강한 부처 장악력을 발휘할 것이란 점을 고려한 인사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분석이다.
여당 지도부의 임명 강행 요구도 강하다. 그동안 현역 국회의원은 인사청문 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으로 지명이 철회된 적이 없다. '현역 불패' 흐름이 깨지면 초기 국정 운영 동력에 타격을 입을뿐더러 대통령실과 여당 관계가 불편해질 수도 있어 '강선우 엄호'에 나섰다는 논리다. 강 후보자가 낙마하면 사실상 정치 생명을 이어가기 힘든 만큼 '운명공동체적 의리'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여가부 장관으로 임명된 이후 각종 논란이 가라앉을까. 부담감을 짊어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밖에 없는데, 어려운 환경에서 제대로 된 성과를 보여줄 수 있을까. 의구심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여가부 장관은 국정 운영에 부담을 주는 존재로 계속 남을 가능성이 크다.
이재명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지지도가 최근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과거에도 여론의 반대가 컸던 인사 임명을 강행하면서 새 정부 출범 초기 '허니문 정국'을 끝낸 경우가 많았다. 이 대통령과 여당은 국민에게 미처 전달하지 못한 인선 강행의 이유가 있는지, 충정 어린 인사에게 현역의원 첫 낙마라는 오명을 씌우기 두려웠는지를 답해야 한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