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관세 틈타 슬쩍…아마존, 저가 생필품 가격 줄줄이 올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WSJ 보도
"트럼프 취임 후 1200개 제품 가격 5.2% 상승"

글로벌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기 취임 후 전 세계를 상대로 벌이는 관세 전쟁 속에 저가 생활필수품 1200여개의 가격을 평균 5% 넘게 인상했다고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AP연합뉴스

A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날 WSJ는 전자상거래 데이터 분석업체 트라젝트 데이터를 인용해 아마존이 판매하는 약 2500개 저가 생필품을 조사한 결과 탈취제, 단백질 쉐이크, 반려동물 용품 등 1200개가량 품목의 가격이 평균 5.2% 상승했다고 전했다. 조사 기간은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취임일인 1월20일부터 7월1일까지다.

반면 경쟁사인 월마트는 같은 기간 동일 품목의 가격을 평균 2% 인하했고, 타겟은 소폭 인상하는 데 그쳤다.


예컨대 중국 등에서 수입하는 데이글로우의 금속 바구니는 아마존에서 1월말 9.31달러였던 가격이 7월초에는 19.99달러로 무려 114.7% 인상됐다. 하지만 같은 제품을 월마트에서는 17.93달러에서 6.77달러로 오히려 62.2% 내렸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아마존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저가 제품 가격을 올린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초부터 전 세계에 기본관세 10%를 적용하고 있다. 중국에는 기본관세 10%, 펜타닐 관세 20%를 합쳐 30%를 적용 중이다. 앞서 아마존은 관세 부담으로 저가 제품에 관세 비용을 별도로 표기하는 방안을 추진하려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프 베이조스 창업자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항의하면서 이를 전면 백지화한 바 있다.

관세 틈타 슬쩍…아마존, 저가 생필품 가격 줄줄이 올려 원본보기 아이콘

다만 아마존이 가격을 인상한 제품들 가운데 일부는 제조업체가 도매가를 올리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고 WSJ는 전했다. 관세 영향이 적은 미국산 제품들조차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존은 이와 관련해 WSJ가 조사한 상품이 회사가 판매하는 제품 가격 전반을 대표하지 않는다며 "우리가 고객에게 주려는 최고의 가치는 상대적인 가격 변화가 아닌 항상 저렴한 가격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이라고 설명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