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부서지고, 끊기고, 넘어지고...국가유산 호우피해 14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도 피해

충청·전라·경기 북부지역을 할퀴고 지나간 집중호우에 국가유산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울산 '구 삼호교' 상판 일부가 20일 오후 내려앉은 모습. 국가유산청

울산 '구 삼호교' 상판 일부가 20일 오후 내려앉은 모습. 국가유산청

AD
원본보기 아이콘

국가유산청은 21일 오전 11시 기준, 호우에 따른 국가유산 피해가 14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같은 시간 집계보다 6건 늘어난 수치다.

피해 유형으로는 사적이 7건으로 가장 많았고, 국가등록문화유산이 3건, 보물 2건, 국보·명승이 각 1건으로 파악됐다.


지역으로는 충남 4건, 경기 3건, 서울·전남 2건, 울산·경북·경남 1건씩이었다.


피해 사례는 토사 유실이 7건, 수목 피해 4건, 시설물 파손 3건으로 집계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도 피해를 입었다. 남양주 광릉에서는 전나무 2그루와 소나무 2그루가 넘어졌고 왕릉 유적을 관리하는 관리동과 역사문화관, 관람객 화장실, 주차장 등이 침수됐다. 현재 부러지거나 넘어진 나무 등은 모두 정리된 상태이며, 빠른 시일 내에 관람로 등을 복구할 예정이다.


지난 17∼19일 사흘간 최대 330m가 넘는 비가 쏟아진 울산에서는 1924년 지어진 것으로 알려진 구 삼호교 일부 구간이 내려앉아 출입이 통제됐다.


국가등록문화유산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피해 모습. 국가유산청

국가등록문화유산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피해 모습. 국가유산청

원본보기 아이콘

주말 사이 비가 집중된 경기도 북부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다. 국가등록문화유산인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에선 소나무가 전도되면서 법당 뒤쪽 일부를 훼손해 현재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국가유산청은 현재 국가유산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발령해 운영 중이다. 국가유산청은 "2차 피해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응급조치를 시행하는 한편, 피해 현황과 위험 지역을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