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업계·교과서발전위 관계자 5000명 참석
"AIDT 검증과 개선 필요…법안 재검토해야"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발행사와 에듀테크 기업, 교과서발전위원회는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AIDT 교과서 지위 유지 궐기대회'를 열고 AIDT의 교육자료 전환에 대한 재검토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 자리에는 AIDT 발행사와 에듀테크 기업 임직원, 교과서발전위원회 관계자,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 등 약 50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황근식 교과서발전위원회 위원장의 대회사를 시작으로, 에듀테크 및 발행사 대표의 발언, 현장 교사 영상 시청, 결의문 낭독 순으로 이어졌다.
박정과 천재교과서 대표는 "지금은 (AIDT 지위 격하) 법안 통과가 아니라, 객관적인 검증과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AI 3대 강국, 100조 투자, 실용주의를 표방하는 현 정부가 왜 교육 분야에서만 AI를 후퇴시키려 하는가"라고 했다.

AIDT 발행사 등 관계자들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총궐기대회에서 AIDT의 법적 지위 격하에 반대하며 정책 철회를 요구했다. 사진=최호경 기자
허보욱 비상교육 콘텐츠컴퍼니 대표는 "지난 3년간 우리는 국가의 디지털 전환 비전을 믿고 개발에 전념해왔다"며 "AIDT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아이들의 집중을 이끌고, 교사와 학생의 눈맞춤을 가능케 하는 도구"라고 호소했다. 그는 장애 학생의 학습권 회복 사례를 소개하며 "AIDT는 교과서로부터 멀어졌던 학생들을 다시 교실로 초대한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너무나 절절한 말씀을 듣고 정말 마음이 아팠다"며 "얼마나 많은 교육 관계자와 현장 교사들이 얼마나 분투했는지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서 의원은 또 "교육 혁신과 교실 혁명을 위해 쏟아부었던 여러분의 피와 땀, 눈물은 사라지지 않는다"며 "새로운 교육 개혁의 시대가 반드시 앞당겨질 거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현준우 아이스크림미디어 대표는 결의문을 낭독하며 "AIDT는 단지 기술이 적용된 교재가 아닌 포용적 교육 플랫폼"이라며 장애 학생, 소외지역 학생, 다문화가정 아이들 누구나 고른 교육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인프라라는 점을 역설했다. 그는 또 "1조 2000억원의 국비와 8000억원 이상의 민간 투자가 집약된 국가 전략 사업을 시행 6개월 만에 법적 지위를 박탈하려는 것은 정책 책임의 방기이자 국민 세금 낭비"라고 비판했다.
현장에서는 "'AIDT 교과서 지위 유지하라', "AIDT 현장 사용 후 검증하자" 등 구호가 제창됐다. 참석자들은 ▲AIDT의 학교 시범 사용 1년 연장 ▲민·관·정 디지털 교육 정책 협의체 구성을 공식 제안하며, 향후 논의의 장이 충분히 보장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호경 기자 hocanc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