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예상가 5배' 425억에 팔린 공룡화석…무슨 가치 있길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쥐라기 후기 케라토사우루스 표본 경매
키 1.9m, 길이 약 3.25m

전 세계에 단 4점만 존재하는 희귀 공룡 케라토사우루스 화석이 경매에서 약 425억원에 낙찰됐다.


케라토사우루스. 미국 뉴욕 경매사 소더비

케라토사우루스. 미국 뉴욕 경매사 소더비

AD
원본보기 아이콘
케라토사우루스. 미국 뉴욕 경매사 소더비

케라토사우루스. 미국 뉴욕 경매사 소더비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CNN에 따르면 미국 뉴욕 경매사 소더비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완전하고 정교한 케라토사우루스 화석이 약 3050만달러(424억8345만원)에 팔렸다고 밝혔다.

이 화석은 케라토사우루스 화석 네 점 중 유일한 어린 개체로, 경매에서 약 6분간 6명의 입찰자가 경합을 벌인 끝에 예상가 400만~600만달러(55억7080만~83억5620만원)를 훌쩍 넘는 가격에 낙찰됐다.


케라토사우루스 나시코르니스는 육식 공룡으로 코뼈 위에 뿔이 있고, 긴 이빨과 몸통부터 꼬리까지 이어진 골판(뼈로 된 갑옷)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경매에 나온 화석은 키 1.9m, 길이 약 3.25m로, 총 139개의 뼛조각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57개는 "거의 완전한 두개골을 구성한다"고 소더비 측은 설명했다.

케라토사우루스. 미국 뉴욕 경매사 소더비

케라토사우루스. 미국 뉴욕 경매사 소더비

원본보기 아이콘

이 화석은 1996년 미국 와이오밍주의 '본 캐빈' 채석장에서 발견됐다. 이 개체는 약 1억5000만년 전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은 2000~2024년 미국 유타주 '생명 고대 박물관'에 전시되기도 했다.


지금까지 이 화석은 학술 논문에 정식으로 보고되거나 연구된 적은 없지만 앞으로 연구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소더비는 "케라토사우루스 표본을 낙찰받은 구매자가 공공기관에 대여할 계획"이라며 "희귀하고 중요한 표본에 걸맞은 적절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같은 경매에서는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큰 화성 운석도 530만달러(73억7972만원)에 판매됐다. 소더비 과학·자연사 부문 책임자인 카산드라 해튼은 성명을 통해 "이러한 경이로운 결과는 우주부터 지구 심연까지, 자연 세계에 대한 인간의 깊은 경외심과 호기심을 반영한다"며 "수집가들이 과학을 넘어 우리 세계를 형성해온 힘들에 대한 본능적인 궁금증을 품고 있다"고 말했다.


마크 웨스트가스 영국 리즈대 미술 시장사 교수는 CNN에 "이번 판매는 최근 화석과 자연사에 대한 관심이 다시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경매 역사상 가장 비싼 공룡 화석 표본의 최고가는 지난해 7월 소더비 경매에서 4460만달러에 낙찰된 '스테고사우루스 에이펙스'다. 웨스트가스 교수는 "고가 시장의 흐름은 결국 '차별화된 소유'를 향한 욕망과 관련이 있다"며 "공룡 화석은 조각처럼 조형적이고 경외감을 자아낸다"고 분석했다.


높은 가격에 낙찰된 공룡 화석을 두고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막대한 자본이 화석을 사유화하면서 학술 연구와 교육의 장에서 점점 멀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스티브 브루사트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 고생물학 및 진화학 교수는 이 같은 고가 경매 결과에 대해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도대체 누가 공룡에 그만한 돈을 쓸 수 있겠는가, 박물관이나 교육 기관은 절대 아니다"며 "구매자가 박물관에 전시할 수도 있다고 하지만 아직 익명인 데다 확실한 계획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표본이 결국 어느 억만장자의 저택이나 헤지펀드의 투자 포트폴리오 속으로 사라져 다시는 세상의 빛을 못 볼까 걱정된다"며 "수천만 달러에 공룡 해골이 몇 분 만에 거래되는 세상에서는 더 이상 모두를 위한 교육적 자산으로 남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웨스트가스 교수는 19세기 영국 남부 해안에서 화석을 발굴해 상점까지 연 메리 애닝의 사례를 언급하며 "시장과 학술 연구는 공생 관계에 있다"고 짚었다. 그는 "당시 화석 시장은 공공기관의 연구를 자극했고 대중의 관심을 키우는 계기가 됐다"며 "이번 케라토사우루스 구매자가 연구기관에 기증할 뜻을 내비쳤다는 점에서 향후 학술 가치도 기대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