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THE VIEW]AI 패권 전쟁, 한국도 참전했지만…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네이버·LG·롯데 '모델 경쟁' 시동
GPU 지원·교육 전략서 정부 존재감 실종
기업은 뛰는데 정부는 걷는다

[THE VIEW]AI 패권 전쟁, 한국도 참전했지만…
AD
원본보기 아이콘

엔비디아 주가가 고공 행진하고 세계 각국이 인공지능(AI) 패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긴 기다림 끝에 국내 주요 IT 기업들도 본격적으로 출사표를 던졌다.


네이버는 한국어 이해도를 대폭 강화한 범용 파운데이션 모델 '하이퍼클로바'를 선보이며 '한국어를 가장 잘 아는 AI'를 차별화 전략으로 내세웠다. LG AI연구소는 최신 모델 '엑사온 4.0'을 공개하면서 모델 가중치를 전면 공개한 점이 눈길을 끈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처음부터 오픈소스 전략을 택해 '아이멤버 3.0'을 출시했고,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 풀스택 AI 서비스를 강점으로 내세웠다.

이미 존재하는 파운데이션 모델에 이리저리 손을 댄 점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지만, 각 기업이 실제 모델을 구현해 나가는 시도 자체가 곧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국내 대기업의 시도들은 분명 긍정적 의미를 갖는다.


해외 기업들도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 구글의 '제미니' 최신 버전은 내부 추론 과정을 구현해 최대 수백만 토큰에 달하는 긴 입력도 한 번에 분석하도록 설계됐다. 알리바바의 '취앤(Qwen) 3'는 과제 난이도에 따라 사고 과정을 선택적으로 사용해 복잡한 문제는 깊이 사고하고 단순한 문제는 생각을 안 하거나 계산을 최소화해 문제 해결 속도를 높인다.


모델마다 차별점은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가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한계를 보완하며 고성능 범용 AI를 지향한다는 목표는 같다. 건축에 비유하면, 설계도를 수차례 수정하고 공간마다 다른 자재를 들여와 최고의 집을 짓는 과정이다.

어떤 파라미터에 얼마나 가중치를 둘지, 값을 어떻게 설정할지 끊임없이 실험하며 '인간 지능을 뛰어넘는 AI'라는 꿈에 다가가는 셈이다. 도면을 요리조리 바꿔보고 자재도 방마다 달리하면서 더 좋은 집을 짓는 것처럼, 모델을 실제 구현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노하우가 늘어난다.


문제는 글로벌 패권 경쟁에서 한국 정부가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다. 유럽은 과도한 규제와 AI의 정부 자원화 전략으로 인해 경쟁력을 잃고 있다. AI 종합지능지수 상위 20위 안에 유럽 국가는 프랑스 한 곳뿐이다.


엔비디아의 GPU를 활용해 구축한 데이터 센터 전경. 사진 = 엔비디아

엔비디아의 GPU를 활용해 구축한 데이터 센터 전경. 사진 = 엔비디아

원본보기 아이콘

미국은 고액 인센티브를 가능하게 하는 성과 중심 보상 문화와, 세제 혜택·규제 완화를 통한 친기업적 정책이 맞물려 기업 주도 성장을 가능케 한다. 일례로 2025년 6월,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메타가 핵심 연구원에게 인당 1억달러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그야말로 확실한 보상을 하는 것이다.


중국은 막대한 인재 풀을 기반으로 승부를 건다. 베이징시부터 2025년부터 초·중학교에 AI 교육을 의무화해 AI 수업을 편성했고, 2024년 기준 535개 대학에 AI 관련 학과를 신설했다. 국가·산업·교육이 긴밀히 연계된 이 체계는 AI 인재의 규모와 수를 먼저 확보하자는 정부의 방향성을 드러낸다.


한국은 미국과 중국의 강점을 모두 확보하지 못했다. 우선 기업 규제가 강력한 가운데 정서상 성과에 따른 큰 보상이 인정보다 비판으로 이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성과 보상 체계가 미국에 밀린다. 기업 내부의 자유로움과 창의성을 강조하는 조직 문화도 아직까지 안착되지 못했다.


이는 자유로운 분위기의 성과 중심 확실한 보상체계를 쫓아 이공계 인재들이 대거 미국에서 취업하는 부작용을 낳았다. 즉, 한국엔 강력한 기업 규제와 성과 보상에 대한 사회적 거부감으로 미국식 보상 체계를 구현하기 어렵고, 중국처럼 거대한 이공계 인재 저수지도 없다.


그렇다면 한국 정부는 어떻게 정책적 키를 설정해야 하는가? 작금의 정부 중심 AI 자원화, 대기업 중심 컴퓨팅 지원 등의 정책을 더 촘촘하게 쪼개 분권화하고 지원의 유연성은 강화해야 한다. 개인 개발자와 스타트업이 자유롭게 실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사업 입찰, 평가 등의 경직된 과정에서 벗어나 보다 유연하게 지원할 필요가 있다.


AI학과 신설보다 중·고등학생 단계에서부터 실험 환경을 제공해 인재를 키우는 편이 빠를 수 있다. AI에 관심이 있는 젊은 인재들이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레디트를 주고 GPU 컴퓨팅 파워를 지원하면, AI에 사활을 건 인재들이 저절로 나온다.


거대 기업은 필요할 때 적절히 지원하되, 그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탈 수많은 인재를 끊임없이 양성해야 한다. 한국이 반도체 패권을 거머쥔 그때처럼, 보다 유연하고 촘촘한 정책, 기업 간의 자유로운 경쟁 환경 조성을 기반으로 한 정책으로 다시 한번 AI 패권을 잡길 기대한다.


경나경 싱가포르국립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