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강득구, 이진숙 지명 철회에 "국민 뜻 따르는 단호한 결단"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 반응
강득구 "李, 국회 존중·야당 경청한 대통령"
김용태 "공정하다면 강선우도 철회했을 것"

이재명 대통령이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한 가운데,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의 뜻을 따르는 단호한 결단"이라며 "참 잘하셨다"고 평가했다. 강 의원은 20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저는 용기 내어 이 후보자에게 자진 사퇴를 촉구했지만, 본인이 결정을 못 내리자 이 대통령께서 직접 결단하셨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영호 위원장에게 선서문을 제출한 뒤 자리로 돌아오고 있다. 김현민 기자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영호 위원장에게 선서문을 제출한 뒤 자리로 돌아오고 있다. 김현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강 의원은 "이 대통령은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 여야 원내대표를 만났다"며 "국민 눈높이에 맞추고 국민의 마음을 아는 지도자, 국회를 존중하고 야당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지도자, 역시 이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또 "이재명 정부는 다르다. 윤석열 정권처럼 오만하지 않다. 국민의 질책을 받아들이고 국민의 뜻을 받들 줄 안다"며 "이재명 정부의 성공, 대한민국의 변화, 정말 기대하셔도 좋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결정에 앞서 지난 19일 오후에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비공개로 만났다. 송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두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요구했으나, 이 대통령은 명확한 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강 의원은 이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그는 19일 SNS에서 "연구윤리 위반, 반민주적 행정 이력, 전문성 부족 등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중대한 결격 사유"라며 "지금이라도 이 후보자께서 국가와 교육의 미래를 위해 현명한 결단을 내려주시길 요청드린다"고 했다. 김상욱 민주당 의원도 지난 17일 "(이 후보자가) 대통령에게 그만 부담을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19일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이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며 고심을 계속했다"며 "그 결과 이진숙 후보자 지명 철회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반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임명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박상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이 후보자 지명 철회와 관련해 "국민의힘이 더는 국정 발목 잡기에 나서지 말고 협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현민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현민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이 후보자 지명 철회에 대해 국민의힘은 다행이라는 반응을 내놓았다.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20일 SNS를 통해 "교육의 기초조차 증명하지 못한 인물을 내세운 것 자체가 국민을 시험대에 올린 결정이었다"며 "철회는 마침표가 아니라 이제 막 꺼낸 '연필 한 자루'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교육부 장관은 단순한 행정가가 아니라 아이들의 내일을 설계할 청사진을 그려야 할 사람"이라며 "다음에는 국민이 고개를 끄덕일 진짜 교육자를 지명하시라"라고 했다.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도 21일 SNS에서 "이 후보자 지명 철회는 사필귀정이자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국민 정서 미달, 전문성 부재, 연구윤리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심각한 단점을 상쇄할 만한 큰 장점은 찾아볼 수 없었다"며 "이러한 인사를 장관 후보자로 지명하고, 어떻게 해서든 옹호하고 문제를 피해 가려 했던 여당의 모습은 매우 실망스럽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대통령이 공정하다면 강선우 장관 지명자도 함께 철회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진숙 후보자 지명 철회는 강선우 장관을 살리기 위한 손절에 불과했다"며 강 후보자 임명 강행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