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어릴 때 먹으면 평생 건강"…초록색 '이 채소' 뜻밖의 효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브라질 연구팀 연구결과
"비만·혈당이상 예방에 오크라 효과"

채소 오크라가 유아기 과영양으로 인한 비만과 혈당 이상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크라를 이용한 요리. 게티이미지

오크라를 이용한 요리. 게티이미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다이렉트에 게재된 논문에서 브라질 마투그로수 연방대학교 산하 연구팀은 "생후 초기 과영양으로 대사장애가 발생한 쥐에게 오크라를 식이 보충한 결과, 에너지 대사와 혈당 불균형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생후 3일 된 쥐들이 먹는 모유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한 어미에게 붙는 새끼 쥐 수를 3마리(소수 그룹), 8마리(정상 그룹)로 조정했다. 또 소수 그룹을 2개로 나눠 일반 사료(SD)와 오크라 1.5%가 첨가된 사료(AE)를 공급하고 생후 60일까지의 대사 변화를 추적했다.


실험 결과, 소수 그룹 어미의 모유는 중성지방과 에너지 함량이 더 높았고, 이 그룹의 새끼 쥐들은 정상 그룹과 비교해 더 많은 모유를 섭취했다. 하지만 오크라가 첨가된 사료를 먹은 그룹은 일반 사료를 먹은 그룹에 비해 비만과 대사이상이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특히 뇌 시상하부에서 나타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가 높은 경우 만성 염증을 유발해 비만, 당뇨병 등의 원인이 된다.


연구진은 이같은 결과가 오크라의 항염증 및 항산화 작용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시상하부의 염증 개선 및 인슐린 감수성 회복이 주요한 작용 방식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크라에 풍부한 폴리페놀, 카테킨, 퀘르세틴 등 생리활성 성분이 대사 증후군 예방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오크라. 픽사베이

오크라.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생후 초기 과영양이 향후 대사질환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오크라 같은 기능성 식품을 통한 비약물적 개입이 예방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오크라는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녹색의 긴 꼬투리 모양의 채소다. 점성이 있는 독특한 식감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오크라는 일본 식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식자재인데, 데쳐서 무침으로 먹거나 냉국, 샐러드, 덮밥, 튀김 등의 요리에 활용된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