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시 38회 재경부로 공직 입문
IMF 외환위기 수습 경험
위기 상황에 꼭 필요한 경제 관료
세심하면서 그립 강한 스타일
레고랜드·태영건설·부동산PF 수습 주도
李 대통령이 6·27 대출규제로 칭찬해 주목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이재명 정부의 첫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금융당국 안팎에서는 권 부위원장의 임명 소식에 '적임자가 올라갔다'고 평가한다.
1968년 경남 진해 출생인 권 부위원장은 진해고와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1995년 행정고시(38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권 부위원장은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를 직접 경험한 경제 관료 중 한 명이다.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금융정책실 외화자금과 사무관으로 발령받고 몇 년이 채 지나지 않아 외환위기가 찾아왔다. 당시 뛰어난 업무 능력으로 가장 빠르게 부이사관으로 승진했다. 이 때문에 그에게는 '위기 대응 전문가'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전 기재부 공무원은 "권 부위원장은 재경부 금융정책실에서 외환위기를 직접 경험하며 하드트레이닝한 공무원"이라며 "위기 상황에서 적임자"라고 말했다.
금융위 출범 이후에는 자산운용과장, 중소금융과장, 은행과장, 금융정책과장을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 때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실로 파견됐고, 금융혁신기획단장, 금융산업국장, 금융정책국장 등 전형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가운데),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 부원장(오른쪽) 등이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위메프, 티몬 판매대금 미정산 관련 관계부처 TF회의에 참석,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원본보기 아이콘권 부위원장은 '핀테크 아버지'로 불리지만, 위기 상황이 불거질 때 빛을 발한다. 2022년 '레고랜드' 사태 당시 수습을 주도한 인물이 바로 권 부위원장이었다. 새마을금고 뱅크런, 태영건설 워크아웃,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조정 등 굵직한 이슈 앞에서 소방관 역할을 했다.
한 국책은행 임원은 "부동산 PF 구조조정은 우리 역사상 전례없는 일이었고, 가이드라인을 새로 만들어야 했다. 권 부위원장이 보고받고 '책임은 내가 진다'며 상황을 수습했다"고 말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공개 칭찬을 한 6·27 부동산 대책(가계부채 관리 방안)도 권 부위원장의 스타일이 녹아 있다는 평가다. 권 부위원장은 정책 설계 시 꼼꼼하고 세심하게 만들되 그립이(장악력) 강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모두 권 부위원장이 상임위원을 거쳐 사무처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벌어진 일이다. 특히 지난 5월 김소영 전 부위원장의 임기가 만료된 후 후속인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부위원장 직무를 대리해왔다. 이 기간 금융업계는 부위원장의 공백을 전혀 느끼지 못할 정도로 직접 발로 뛰어다녔다는 평가도 있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