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러 마트에 북한산 사과·맥주·소시지 등장?…외신 "북·러 경협 속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동반자 관계 조약' 1년 맞아
北 업체들, 러시아 진출 노리고
러시아는 북한에서 다리 건설

북한산 사과가 러시아 슈퍼마켓에서 판매되고 북한 어선이 러시아 극동 해안에서 조업하는 등 북한과 러시아 양국의 경제협력이 다방면에 걸쳐 이뤄지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연합뉴스는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를 인용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평양을 방문해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에 서명한 지 1년여가 지나면서 점점 그 결과물이 드러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을 접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3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을 접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3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매체에 따르면 잼, 소시지, 맥주, 아코디언 등을 만드는 북한 업체들은 러시아 지식재산권 당국에 상표(IP) 등록을 하며 러시아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또 러시아는 북한에서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1억 달러(1393억원) 규모의 다리를 건설하는 중이다. 모스크바와 평양을 잇는 1만㎞ 철도 노선도 복원 및 재개통을 앞둬 향후 양국 간 교류는 더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학술·문화 분야의 민간 교류도 빈번히 이뤄지고 있다. 양국 대학 총장 회의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렸으며, 운동선수 파견에 이어 러시아 극단이 평양에서 공연하기도 했다.


북한은 러시아에 1만3000명 규모의 병력과 포탄 1200만발 등을 제공해 왔으며, 추가로 공병 및 건설 노동자 6000명 파견도 예정돼 있다. 그 대가로 김정은 정권은 현금과 현물, 기술 이전 등으로 수십억 달러(수십조원)를 벌어들이게 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러한 북러 협력에 대해 FT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노력보다도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한층 강화된 양국 동맹 구도를 두고 "경제적·군사적 포괄 협력의 심화"라고 평했다. 이는 북한의 대(對) 서방 저항력 강화와 러시아의 병력·무기 확보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 또한 나오고 있다.

반면 북한과의 교역 증가가 러시아에 별다른 경제적 이익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북한이 수출하는 품목이 러시아에서 큰 관심을 둘 만한 것이 아니고, 중국과는 달리 러시아 기업에는 북한 사업을 운영할 노하우가 없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