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중국어는 별로, 대세는 한국어"…전 세계가 열광하는 이유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미국과 유럽 등 대학에서 중국어 수업의 인기가 한국어에 밀린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의 경제 부진과 안 좋은 국가 이미지가 중국어에 대한 관심을 떨어뜨리고 있지만, 한국어는 K팝 등 한국 문화의 인기를 업고 그 위상을 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대언어학회 보고서를 보면 미국 대학에서 2013~2021년 한국어 등록률은 57% 이상 급증했지만, 중국어 등록률은 꾸준히 감소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K팝 등 소프트 파워 업고 한국어 수업 인기
경제 부진·부정적 이미지…중국어 인기 하락

서울 소재 한 대학 여름학교에 참가한 외국인 학생들이 초복을 맞아 삼계탕을 먹고 있다. 아시아경제DB

서울 소재 한 대학 여름학교에 참가한 외국인 학생들이 초복을 맞아 삼계탕을 먹고 있다. 아시아경제DB

AD
원본보기 아이콘

미국과 유럽 등 대학에서 중국어 수업의 인기가 한국어에 밀린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경제 부진과 안 좋은 국가 이미지가 중국어에 대한 관심을 떨어뜨리고 있지만, 한국어는 K팝 등 한국 문화의 인기를 업고 그 위상을 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대언어학회 보고서를 보면 미국 대학에서 2013~2021년 한국어 등록률은 57% 이상 급증했지만, 중국어 등록률은 꾸준히 감소했다. 클레이턴 두베 전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미·중연구소 소장은 "현재 가장 인기가 많은 동아시아 언어는 한국어"라며 "이는 100% K팝이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팝 문화를 접한 젊은이들이 한국어를 배우려는 동기가 부여되는 경향이 크며, 여기에는 특히 방탄소년단(BTS)이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외신은 덧붙였다.


그에 비해 한때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언어였던 중국어에 대한 관심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언어협회(Modern Language Association)의 가장 최근 보고서를 보면 미국에서 2021년 대학의 중국어 등록률은 2013년 최고치 대비 25%나 줄어들었다. 미국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중국어 인기는 감소하고 있다. 영국 고등교육통계청(OHS) 데이터를 보면 2023년 중국어를 공부하는 영국 대학생 수는 2016년 최고치 대비 35% 줄었다.


전문가들은 중국어 인기 하락세의 원인으로 중국의 경제 부진과 부정적인 국제 이미지를 꼽았다. 중국 경제가 급성장할 당시 경제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중국어의 필요성에 방점이 찍혔다. 특히 2015년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2020년까지 100만명의 학생이 대학 입학 전 중국어를 공부하도록 하는 목표를 세웠다. 2013년 당시 영국 총리였던 데이비드 캐머런은 "내일의 비즈니스 거래를 성사할" 중국어를 배우라고 젊은이들에게 촉구했다. 하지만 최근 중국 경제가 부진에 빠지면서 비즈니스 교류 기회가 줄어들면서 중국어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줄어든 것이다.

지난해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에서 열린 외국인 한글백일장 모습.

지난해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에서 열린 외국인 한글백일장 모습.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확산한 것도 한몫을 거들었다. 독일의 중국 교육 네트워크인 빌둥스네츠베르크 차이나의 휴 산도는 "중국에 가보지 않은 사람들은 중국 뉴스만 읽는다"며 "독일 언론은 중국의 인권 침해, 환경 오염, 빈곤 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이 독일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매력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세계 미래세대를 잇는 한국어 세계화 전략(2023년)' 보고서에서는 전 세계에서 제1 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7745만명, 제2 언어 포함 시 8170만명이라고 추산했다. 지난해 기준 한국어를 제2 외국어로 채택한 국가는 24개국에 달한다.


전 세계적으로 세종학당을 통해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 수도 늘고 있다. 2022년에 85개국, 248개 세종학당에서 11만7000여명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학습했다. 2023년에는 88개국, 256개소로 확대됐으며 수강생은 21만6000여명에 달했다. 정부는 2027년까지 세종학당을 350개로 확대하고 전 세계 수강생 50만명을 목표로 한국어 교육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 '2023 지구촌 한류 현황'에 따르면 한류 팬은 2012년 926만명에서 2023년 12월 2억2500만명으로 급증했다. 2023년 조사된 한류 동호회 중 68%가 K팝 동호회며, 10%가 K드라마 동호회로 나타났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