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식당선 비계 절반 삼겹살, 숙소선 고장 난 에어컨…"울릉도 너무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 유튜버의 여행 영상 통해 논란 다시 불거져
“일반적인 여행지 수준 기대하면 실망할 것”

울릉도의 '바가지요금' 논란에 다시 불이 붙었다. 한 유튜버의 울릉도 여행 영상이 발단이 됐다.


해당 유튜버는 지난 19일 자신의 계정에 '울릉도를 처음 방문했는데 많이 당황스럽다'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그는 영상에서 울릉도의 한 고깃집을 찾아 삼겹살 1인분(120g)을 1만5000원에 주문했는데 절반 가까이가 비계였다고 지적했다. "이게 맞는 양이냐"고 묻자 식당 관계자는 "육지처럼 각을 잡지 않고 퉁퉁 썬다"고 해명했다. 이에 유튜버는 "처음 오는 사람이라면 당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 유튜버가 울릉도에서 경험한 부실한 음식·숙박 서비스에 대해 공개해 논란이 일었다. 유튜브 채널 캡처

한 유튜버가 울릉도에서 경험한 부실한 음식·숙박 서비스에 대해 공개해 논란이 일었다. 유튜브 채널 캡처

AD
원본보기 아이콘

또한 다른 식당에서는 따개비죽 한 그릇에 2만원을 지불했다. 이 유튜버는 제주도의 전복죽(1만3000원)과 비교하며 "맛은 괜찮지만 가격이 부담스럽다"고 고개를 갸웃했다.


게다가 그는 숙소에서는 도착 당일부터 에어컨이 고장 난 방에서 무더운 밤을 보내야 했고, 관리자는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하며 사과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유튜버는 "여기저기 여행을 다니며 많은 숙소를 가봤지만 오전 10시 30분이라는 이례적인 체크아웃 시간, 실온에 가까운 냉장고, 그리고 1박에 9만원이라는 가격이 납득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자연은 아름답고 섬사람들의 삶을 경험하러 오는 이들에게는 좋은 곳일 수 있지만, 일반적인 여행지 수준의 서비스나 합리적인 가격을 기대하는 사람이라면 실망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다만 이 유튜버는 "울릉도 전체를 싸잡아서 말한 것 같은데, 내가 경험했던 일부에 대해서만 말한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덧붙였다.


한유튜버가 울릉도에서 경험한 부실한 음식·숙박 서비스에 대해 공개해 논란이 일었다. 유튜브 채널 캡처

한유튜버가 울릉도에서 경험한 부실한 음식·숙박 서비스에 대해 공개해 논란이 일었다. 유튜브 채널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해당 영상은 업로드 하루 만에 100만회를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고, 영상 속에서 소개된 울릉도의 음식과 숙박 서비스에 누리꾼들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울릉도의 바가지요금 논란은 예전에도 불거진 바 있다. 이 때문에 울릉군이 물가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지난해 행정안전부가 실시하는 '지방 물가 안정 관리 평가'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되기도 했지만, 논란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올해 3월에도 한 유튜버가 1만2000원짜리 백반 정식을 두고 "반찬 구성이 너무 부실하다"고 항의하자, 식당 주인이 "여긴 울릉도라 육지와 다르다"고 응수한 사례가 알려졌다. 지난해에도 7만원짜리 백반 정식 가격이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