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유족들 "근거 자료부터"…12·29 여객기 참사 엔진 조사 결과 인정 못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유족들 "부실한 내용으로 2차 가해" 주장도

19일 오후 전남 무안공항에서 김유진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12·29 여객기 참사 엔진 정밀조사 결과 현장 브리핑이 취소된 후 대한 입장을 말하고 있다. 민찬기 기자

19일 오후 전남 무안공항에서 김유진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12·29 여객기 참사 엔진 정밀조사 결과 현장 브리핑이 취소된 후 대한 입장을 말하고 있다. 민찬기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181명의 사상자를 낸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엔진 결함에 대한 조사 결과 언론 브리핑이 유족들의 반대로 취소됐다. 유족들은 "아직 조사가 진행 중인데도 부실한 내용을 최종 결과인 것처럼 발표하는 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라며 규탄의 목소리를 냈다.


19일 오후 전남 무안공항에서 실시될 예정이었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12·29 여객기 참사 엔진 정밀조사 결과 현장 브리핑이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족들의 반대로 취소됐다.

이날 언론 브리핑에 앞서 사조위는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족들을 대상으로 엔진 정밀조사 결과를 설명하는 총회를 개최했다.


총회 후 유족들은 "부실한 조사를 최종 결과인 것처럼 언론에 공개하는 것을 반대한다"며 언론 브리핑 취소를 요청했다.


한 유족은 "국토부가 참사 원인을 조류 충돌과 사망한 조종사 과실로만 규정하는 브리핑을 발표하려 하고 있다"며 "만일 실수가 있더라도 그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부실했다는 등 전체적인 결과를 내놓지도 않았다"고 역설했다.

김유진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사조위가 일부 공개하고 싶은 내용만 전하려고 한 것 아니냐 의구심이 든다"며 "결과에 대한 원인과 근거를 설명해야 유족이 납득할 수 있을 텐데, 왜 그 결과가 나왔는지 유족들의 물음엔 공개할 수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조위는 사건 조사의 독립성을 해친다는 이유로 조사 과정은 비공개로 하고 있으며 일방적인 결과만 내고 있다"며 "참사의 피해를 키운 것이 무안공항 내 둔덕으로 지목되고 있고, 사고 조사를 진행 중 필요시 안전 권고를 진행할 수 있는데도 국내 공항에는 여전히 둔덕이 6개가 유지돼 있다"고 꼬집었다.


유족 측 변호인도 "엔진 정밀조사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하는데 근거 자료는 공개하지 않았다"며 "새와 사망한 조종사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러한 결과를 발표하려면 엄밀한 조사가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유족들의 사고에 대한 질의에서도 '아직 조사 진행 중'이라는 말만 반복해 신뢰를 떨어뜨렸다"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조사 내용을 보완 후 추후 다시 언론 브리핑을 재개할 예정이다"며 "아직 정해진 일정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사조위는 지난 1월 '동체 착륙 후 활주로를 초과해 방위각 시설물과 충돌했다'는 내용의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조위는 지난해 12월 발생한 이번 사고 직후부터 정밀 조사를 이어오고 있다.





호남취재본부 심진석 기자 mourn@asiae.co.kr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