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돌리면 전기 잡아먹는 하마…운영비 85%가 전기값
“기름값처럼 전기값도 지역 따라 달라야”
“같은 전기요금은 잘못된 발상…시장 논리 도입해야”
“수도권은 멀어서 비싸게, 발전소 근처는 싸게”
“AI 데이터센터, 발전소 수준의 인프라 필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전기값을 책정하는 지도가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공지능(AI) 산업이 전력 소비를 많이 요구하는 구조인 만큼, 지역별 수급 여건과 거리, 산업 특성 등을 반영한 전기요금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18일 경주에서 열린 대한상공회의소 하계포럼 부대행사 '경영토크쇼'에 참석한 최 회장은 "대한민국의 전기값을 싸게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발전소에서 가까운 곳은 전기값이 싸야 하고, 먼 곳은 비싸야 한다. 동일한 전기 요금을 똑같이 받겠다는 것은 잘못된 발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SK가 가산동에 만든 AI 데이터센터는 발전소를 짓는 수준의 설비가 들어간다. 지하에는 발전 설비가 다 깔려 있고, 한전에서 공급되는 전력 외에도 UPS(비상 전원)용 배터리까지 갖춰야 한다"며 "처음 짓는 투자금을 제외하고도 운영비의 85%가 전기값으로 들어간다. 전기를 잡아먹는 하마 같은 구조"라고 설명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오른쪽)이 18일 경상북도 경주에서 열린 대한상의 하계포럼 부대행사 '경영토크쇼'에 참석해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대담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이어 "기름값도 유가 자유화 전에는 전국이 똑같았지만, 지금은 지역마다 다르다. 전기요금도 에너지인 이상 결국 같은 구조로 가야 한다"며 "수도권처럼 발전소와 먼 지역은 전기료가 더 비싸야 하고, 지방 발전소 인근은 더 싸게 공급돼야 산업구조도 재정렬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AI 전환을 위해 데이터 확보와 규제 개혁, 인재 양성, 에너지 구조 개선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강한 AI를 만들려면 밥을 잘 먹여야 되는데, 그 밥이 바로 데이터"라며 "업계에서는 남의 데이터는 갖고 싶지만 내 데이터는 주기 싫은 경우가 많다. 이 상태로는 더 이상의 진화가 어렵다"고 말했다.
또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게 되면, 공유하지 않는 사람보다 인센티브를 받는 구조가 있어야 한다"며 "경쟁이 아닌 시너지를 통한 협력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최 회장은 대한상의가 제안한 '메가 샌드박스' 개념도 언급했다. 그는 "AI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제도는 아니지만, 규제를 혁신하기 위한 개념으로 도입된 것"이라며 "원격 의료 같은 것도 일단 시도해보면서 문제를 파악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인재 확보 문제에 대해서는 "AI 엔지니어가 최소 10만 명, 많게는 100만 명, 1000만 명까지 필요할 수 있다"며 "교육만으로는 시간이 걸리니 해외 고급 인력을 유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뛰어난 두뇌는 계속 빠져나가고, 노동집약적 인력만 들어오는 구조"라며 "AI 같은 타깃 분야에 외국 인재가 들어올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외국인 정착과 관련해서도 "한국말을 하라고 요구하고, 시험을 치게 한다면 좋은 인재는 오지 않는다"며 "영어로도 일할 수 있고, 살 수 있는 거점 도시를 만들어야 선택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데이터, 인재, 에너지를 묶어서 한꺼번에 실험해볼 수 있는 것이 메가 샌드박스"라며 "지역의 유사 산업끼리 같이 묶어서 솔루션을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일단 뭔가 해볼 수 있는 정도를 많이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경주=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에어컨 펑펑 틀어도 전기요금 '0원'…10년간 '무료'인 '이 회사' 비결은[테크토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1713151949732_175272572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