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사모펀드도 포함될 듯
FT "이번주 행정명령 서명"
운용 규모만 1경3조…업계 기대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대표적인 퇴직연금 '401k' 계좌의 투자 대상을 기존의 주식과 채권뿐 아니라 비트코인, 사모펀드, 금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약 9조달러(약 1경2517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은퇴 자금 가운데 일부가 이러한 대체 자산 시장으로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FT는 이날 사안에 정통한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이번 주 내로 트럼프 대통령이 이 같은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백악관은 FT에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미국인의 번영을 되찾고 경제적 미래를 지켜나갈 것을 약속한다. 진정한 공식 결정은 대통령의 발표일 것"이라며 사실상 관련 보도 내용을 인정하는 입장을 내놓았다.
401k는 미국에서 '연금 백만장자'가 양산되는 배경으로 손꼽히는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 제도다. 1981년 도입돼 미국 증시의 성장과 함께 근로자들의 노후생활에 크게 기여해 왔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401k 퇴직연금 운용 수익률은 최근 20년간(2001~2020년) 연평균 8.6%에 달했다. 매년 3조~4조달러에 달하는 신규 자금이 유입되며 미국 증시의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다. 투자자와 시장 모두에 이익이 되는 '윈윈' 구조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가상자산은 물론, 금, 사모펀드, 비공개 대출, 인프라 투자 등 다양한 대체자산군에 대한 401k 투자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를 위해 노동부와 재무부, 증권거래위원회(SEC), 연방퇴직저축투자이사회(FRTIB) 등 유관 기관들이 남은 규제 개선을 위한 행정 절차를 이행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미 대선 후보 시절 '가상자산 대통령'을 자처한 트럼프 대통령은 연초 취임 후 퇴직자금을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도록 법적 장치를 마련해 왔다. 지난 5월 노동부가 연금계좌의 '비트코인 투자 금지 조치'를 철회한다고 밝힌 게 대표적이다. 앞서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은 가상자산의 도난·손실 위험을 지적하며 2022년 이를 금지했는데, 후임인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이 결정을 바로 뒤집은 셈이다.
게다가 가상자산의 경우 이날 스테이블코인법안 등 가상자산 3법이 미 하원 본회의를 통과하기 시작하면서 기대감이 커졌다. 리플(XRP)이 최고가를 경신하고 비트코인이 전 거래일보다 1%대 강세를 보이는 등 시장 분위기가 고조됐다. 사모펀드업계 역시 기대감이 크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나 블랙스톤 같은 대형 사모자산 운용사들이 수혜 대상으로 꼽혔다. 공적 연기금 등 주요 기관투자가들이 기존 사모 투자 한도에 근접하면서 이들 운용사에는 새로운 자금 유입 경로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다만 주식·채권에 비해 투자 위험이 큰 사모펀드 등으로 투자 문턱을 낮추려면 더 많은 논의와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마틴 스몰 블랙록자산운용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16일 애널리스트들과의 회의에서 "401k에 사모펀드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려면 미국 내 소송 개혁, 또는 적어도 투자 자문 규제 개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WSJ는 전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에어컨 펑펑 틀어도 전기요금 '0원'…10년간 '무료'인 '이 회사' 비결은[테크토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1713151949732_175272572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