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품목 중 4개 올라
물가정보, 전통시장 재료비 조사
오는 20일 초복을 앞두고 전통시장에서 재료를 사서 삼계탕을 직접 끓이는 데 드는 비용이 5년 전보다 35% 오른 9000원(1인분 기준)으로 조사됐다.
17일 전문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정보는 영계와 수삼·찹쌀·마늘·밤·대파·육수용 약재 등 삼계탕 재료 비용이 이같이 상승했다고 밝혔다. 한국물가정보는 매년 초복 전에 삼계탕 재료비 시세를 조사하고 있다.
전통시장에서 영계 네 마리와 수삼 네 뿌리, 찹쌀 네컵 등 삼계탕 4인분 요리를 하기 위한 비용은 3만6260원으로 집계됐다. 1인분으로 나누면 9065원인 셈이다. 이는 5년 전(2만6870원)보다 34.9%, 지난해(3만2260원)보다 12.4% 각각 오른 수치다.
삼계탕 재료 7개 품목 중에서 영계·찹쌀·마늘·대파 등 4개 품목 가격이 작년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전통시장에서 영계 네 마리(약 2㎏, 5~6호 기준) 가격은 지난해 1만6000원에서 올해 1만8000원으로 12.5%(2000원) 올랐다.
찹쌀 네 컵(800g)은 2700원에서 4300원으로 59.3%(1600원) 상승했고, 마늘 20알(50g)은 500원에서 600원으로 20.0%(100원), 대파(300g)는 1500원에서 1800원으로 20.0%(300원) 각각 상승했다.
이밖에 수삼(4뿌리)은 5000원, 밤(4알)은 560원, 육수용 약재는 6000원으로 가격이 작년과 동일했다.
물가정보에 따르면 삼계탕의 핵심 재료인 영계는 폭염으로 인한 집단 폐사와 복날 수요가 겹치면서 가격이 올랐고, 찹쌀은 재배면적 축소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마늘과 대파도 최근 기상 악화로 인한 생육 부진으로 가격이 오름세를 보였다.
그러나 서울 지역 삼계탕 한 그릇 외식 평균 가격은 1인분 기준 1만7000원으로 집에서 요리하는 비용의 두 배에 육박한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기획조사팀장은 "올해 삼계탕의 주재료 대부분이 지난해보다 올라 가계 부담이 다소 커졌다"라며 "그럼에도 외식 비용과 비교하면 대형마트 할인 정책 등을 이용해 직접 조리하는 것이 경제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