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의장 해임 질문에
트럼프 "모든것 배제않지만 가능성 희박"
차기 의장 후보로 워시-해싯 ‘2파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을 해임할지에 대해 "Fed 건물 보수 비용과 관련한 사기가 드러나지 않는 한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정치적 부담은 줄이고 시장의 불안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바레인 총리와 회담하는 자리에서 '파월 의장 해임을 고려하고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나는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답한 뒤 "그러나 그가 (Fed 건물 보수를 둘러싼) 사기로 물러나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해임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파월 의장을 해임할 계획이 있느냐는 거듭된 질문에 "아니다"며 "우리는 어떤 것도 계획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는 모호한 입장을 취하면서도 시장에 불필요한 충격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백악관과 일부 공화당 인사들은 Fed 본부의 보수 공사 비용이 애초 계획보다 7억 달러나 초과해 총 25억~27억 달러에 달한다며 과도한 지출과 승인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사실상 해당 공사를 파월 의장을 압박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삼고 있는 셈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도 "25억 달러, 27억 달러나 들어간 보수 비용에는 사기가 개입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어떻게 건물 하나 보수하는 데 27억 달러나 쓰는가. 파월은 이 과정에서 적절한 승인도 받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이 '정당한 사유(for cause)'에 해당하는 해임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CBS는 백악관 내부 소식통을 인용, 트럼프가 '정당한 사유'에 근거해 파월을 해임할 수 있는 방안을 타진하고 있으나 아직 백악관이 법적 논거를 마련하진 못한 상태라고 전했다.
연방준비법은 Fed 의장을 '정당한 사유' 없이 해임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 같은 법적 제약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수차례에 걸쳐 파월에게 자진 사임을 촉구해왔지만, 파월 의장은 사퇴할 의사가 없음을 거듭 밝혀왔다.
그는 파월 의장 해임이 개인적인 감정이 아닌, 공화당 내부에서도 지지를 받고 있는 주장임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과 (의원들과) 파월 해임이라는 개념에 대해 이야기했다"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고, 거의 모든 이들이 해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는 그들보다 더 신중한 편"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자신의 거듭된 요구에도 금리를 내리지 않는 파월 의장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파월 의장을 "형편없는 Fed 의장"이라고 칭하면서 "그가 해야 할 일은 금리를 내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발언은 오는 29~30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금리 인하를 압박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현재 기준금리는 약 4.3% 수준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Fed가 이를 최대 3%포인트 인하해 연방정부의 차입 비용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파월 의장의 해임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차기 Fed 의장 후보군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차기 Fed 의장 자리를 두고 케빈 워시 전 Fed 이사와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이 '2파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Fed 의장직을 맡기를 원하는 사람이 많다"면서 언론에서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는 해싯 국가경제위원장에 대해 "고려 중인 사람 중 한명"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