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최태원 "보호무역 시대, 일본과 협력 넘어 경제공동체 만들어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유튜브 채널서 강조
"EU처럼 함께 살아야 할 때"

최태원 SK 그룹 회장이 한국과 일본이 경제 협력을 넘어 유럽연합(EU)처럼 경제 공동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성장과 보호무역 기조 속에서 새로운 생존 전략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김지윤의 지식 PLAY' 채널 유튜브 화면캡처

'김지윤의 지식 PLAY' 채널 유튜브 화면캡처

AD
원본보기 아이콘

최 회장은 16일 유튜브 채널 '김지윤의 지식 PLAY'에 출연해 "대한민국의 성장이 거의 멈추는 단계까지 왔다"며 "잠재 성장률이 0%대로 진입했고 지금까지 해온 방식으로는 생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과 경제 협력을 하자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경제 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EU처럼 공동체를 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일본에서도 여러 인사들과 공유하고 있으며, 일본도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역사 갈등에 대해서는 "그것은 넘어가야 하는 것이지 그것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말자는 선택지는 우리 손에 없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독일과 프랑스가 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EU를 통해 경제 통합을 이룬 사례를 언급하며 "이들 국가는 한국과 일본보다 훨씬 더 큰 갈등을 겪었지만 결국 함께 가는 길을 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과거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가 필요한 시대"라며 "같이 사는 방법을 고안할 때"라고 덧붙였다.


글로벌 경제 환경에 대해서는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시작된 보호무역 기조가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바뀌지 않았다"며 "이제는 어차피 보호무역 시대"라고 규정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가장 처지가 비슷하고 협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국가는 일본뿐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의 경제 모델 변화도 주문했다. 최 회장은 "지금처럼 수출 중심의 흑자 구조는 무역마찰과 외교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해외에 투자해 수익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하며 이는 일본이 이미 상당히 활용 중인 전략"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도 자산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제조 AI(인공지능)에 이어 소프트 문화 산업을 차세대 산업으로 지목하며 인공지능 기술에 문화 콘텐츠를 접목한 새로운 산업군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최 회장은 "K컬처를 일시적 트렌드가 아닌 생활 속 습관으로 정착시켜야 한다"며 한국 음식과 문화를 세계적 일상으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이슬 기자 ssmoly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