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격차 K-APEC, 우리가 만들어야 합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6일 경주에서 열린 대한상공회의소 하계포럼 기조연설에서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단순한 외교 행사를 넘어 한국이 초격차 산업 역량과 문화적 비전을 결합해 세계에 새로운 국제행사 모델을 제시할 기회"라며 "'초격차 K-APEC'을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번 정상회의는 내란을 극복하고 단순한 성장 회복을 넘어 문화 선도 국가로 도약하는 분기점이 돼야 한다"며 "국민이 다시 모이고, 기업이 다시 뛰는 새로운 대한민국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주는 신라 천년의 수도였고, 통합과 문화의 정신이 살아 있는 도시"라며 "이제 우리는 그 유산 위에 민주주의와 과학기술을 결합한 대한민국만의 새로운 국가 모델을 세계 앞에 선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코스피 상승세?‥지금은 착시가 아니라 본질을 봐야 할 때"
김 총리는 현 경제 상황에 대해 "1997년 외환위기보다 더 복합적인 구조적 위기 속에 있다"며 "당시는 기업 펀더멘털이 살아 있었지만 지금은 사이클상으로도 하강기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정권 교체 이후 코스피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는 구조적 변화의 결과가 아니라 국민이 바꾼 심리 효과에 따른 착시일 수 있다"며 "본질을 외면한 낙관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대로 가면 괜찮겠다는 판단 자체가 구조적 위기를 놓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향후 3~6개월은 대한민국 경제의 중대한 분기점이 될 시기"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제안한 새로운 글로벌 관세 체제에 정면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관세 이슈는 단순한 통상 마찰이 아니라 한국 산업의 존립과 직결된 문제"라며 "이 과정에서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뿐 아니라 일본과의 외교적 연속성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의 꿈, 문화 선도국가로의 전환
김 총리는 이번 APEC을 '대한민국의 꿈(Korean Dream)'을 다시 설정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우리는 단순한 내란 극복이나 경제 성장에 머물 것이 아니라 문화 선도국가로 도약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재명 대통령과 논의 끝에 대한민국의 미래 국가 모델로 '문화국가론'을 고민하게 됐다"고 말했다.
"군사강국도, 경제강국도 아닌, 문화가 가장 아름다운 나라"라는 비전을 언급하며 "지금이야말로 K문화와 인공지능(AI), 기술과 민주주의가 결합한 새로운 질서를 세계에 제시할 수 있다"고 밝혔다. "K-APEC은 그 상징적 출발점"이라는 덧붙였다.
김 총리는 APEC이 단순한 정부 주도의 외교 행사로 끝내서는 안 된다며, 전국적인 국민 행사이자 단순한 정상회담을 넘어서는 미래 통합형 복합행사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마치 외환위기 이후 금 모으기 운동처럼, 이번 K-APEC도 모든 국민이 조금씩 자기 역할을 맡는 국민 참여형 행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런 점에서 대한상공회의소의 역할이 막중하다"고 당부했다.
덧붙여 "이번 APEC을 반드시 성공시켜야 한다"며 "대한민국과 경주를 찾는 모든 이들의 기대를 뛰어넘는 준비와 전략으로 우리 스스로를 놀라게 하고, 세계를 감동하게 하자"라고 말했다.
경주=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