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경북서 작년 벌쏘임 환자 1163명…"벌집 직접 제거말라" 당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경북소방본부는 16일 "여름철 벌집 제거 출동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며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7~9월에 도민들에게 벌쏘임 사고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도내 벌집제거 출동 건수는 2022년 1만 8056건, 2023년 2만 1401건, 2024년 2만 9688건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경북 소방대원들이 가정집에서 처마밑에 벌집을 제거하고 있다.

경북 소방대원들이 가정집에서 처마밑에 벌집을 제거하고 있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특히 7월부터 9월까지 무더위 시기에 전체 활동의 약 85%가 집중되며, 하루 수백 건에 달하는 신고가 접수돼 구조대원들의 활동이 크게 가중되고 있다.

청도군 청도읍 야산에서는 벌초 중이던 남성이 벌에 쏘여 소방헬기로 구조됐으며, 경주시 문무대왕면에서도 벌초 중 벌쏘임 사고로 병원에 이송된 사례가 있다.


또한 예천군에서는 추석 벌초 중 50대 남성이 벌에 쏘여 숨지는 등 벌초철을 전후로 한 야외 활동 중 사고가 잇따르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올해 역시 1월부터 6월까지 벌집제거 출동은 이미 2760건에 달하고 있으며, 폭염이 본격화되는 7~9월에는 더욱 많은 출동과 신고가 예상된다.

벌집 제거 출동 증가와 함께 벌에 쏘이는 사고도 지속되고 있다. 경북지역 벌쏘임 환자는 2022년 1229명, 2023년 1109명, 2024년 1163명으로 매년 1천건 이상의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응급처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벌에 쏘이면 심한 통증은 물론, 알레르기 반응이나 쇼크로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어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야외 활동이나 작업 시에는 벌집을 건드리거나 자극하는 행위를 삼가고, 노출된 피부 부위를 최대한 가려 벌의 공격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하며, 향수나 화장품 등 강한 향을 풍기는 제품의 사용을 자제하고, 벌이 접근했을 때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손을 휘젓는 행동을 하지 않는 등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박성열 경북소방본부장은 "벌집을 발견하더라도 무리하게 제거하려 하지 말고, 반드시 119에 신고해 전문대원의 도움을 받아주시길 당부드린다"며 "작은 부주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야외활동 시에는 반드시 벌쏘임 예방법을 숙지하고 실천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구대선 기자 k5865@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