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특사 관련해선 "가도 그만, 안가도 그만"
"특사 요청 온다면 거부할 생각은 없어"
김종인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논문 표절 의혹을 받는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갑질 의혹에 휩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야권의 낙마 공세를 받는 데 대해 "후보자 자신들이 그런 (문제) 사례가 발각되면 자기가 장관에 취임해 대통령에게 얼마큼 누가 되느냐, 안 되느냐는 스스로 판단해 결정하면 쉽게 끝나는데 일단 임명받으면 욕심이 생겨 그런 생각을 하기 어려운 것 같다"고 지적했다.
16일 김 전 위원장은 CBS 라디오에서 '두 후보자가 자진해서 사퇴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이런 과오를 갖고 장관이 됐을 때 대통령에게 피해가 되느냐, 안 되느냐는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 판단은 스스로 해야 한다"며 운을 뗐다. 이어 그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이 후보자로, 학문의 세계에서 표절은 도둑질과 비슷하다"고 비판했다.
자신이 이 대통령의 미국 특사 명단에서 제외됐다는 보도가 최근 나온 것과 관련해 진행자가 '대통령실이 특사로 가달라고 한다면 갈 생각이 있는지'를 묻자 "(특사로) 간다고 그랬으니까, 그걸 거부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실에서 특사 얘기가 나와 여러 생각을 해서 좋다고 응답했다. 그 이후엔 더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내가 응답했으니까 가달라고 하면 가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안 가면 그만인데, 뭐 대단한 것이라고 이렇게 저렇게 얘기하고, (여당 최고위원이) 대통령한테 텔레그램 문자를 보내는 소행 자체가 납득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는 지난 9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더불어민주당 한 의원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김 전 위원장 특사 파견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텔레그램으로 보내는 장면이 포착된 것을 거론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자신이 여권 일각의 파견 반대 기류에 대해 '유치원식으로 하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는 보도에 대해선 "그런 얘기를 하지 않았다"며, "하는 짓이 유치하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가운데 혁신위원회를 띄운 국민의힘을 향해선 "생리적으로 혁신하기 굉장히 어려운 정당으로 당 주류인 영남 출신 의원들은 당 진로에 크게 관심이 없다"며 "지역 특성을 봐서 공천만 받으면 의원이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어 신경 쓰지 않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