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 늘며 결국 부동산값 상승 이어질 것"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재명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부동산 대출 규제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에 대해 "통화량이 늘어나는 것에 비례해 주택 가격이 증가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공통 현상"이라며 "그 점을 무시하고 이율배반적인 정책을 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1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취임 3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새 정부 정책을 평가해달라는 질문에 "취임 초에 새 정부가 소비쿠폰을 발행하고 시중에 돈을 풀면 일정 부분에서 소비 진작은 될 것이지만, 결국은 통화량의 증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소비쿠폰 발행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빚이 늘어나는 점도 지적했다. 오 시장은 "정부가 전체를 부담하겠다고 하더니 지자체로 일정 부분 (재원을) 떠넘겨 시와 자치구가 빚을 내지 않을 수 없다"며 "코로나 팬데믹, IMF 시기에는 빚을 내서 경기를 부양하는 것이 합리화되지만, 지금이 과연 그 정도인가에 대한 논쟁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오 시장은 "일시적으로 돈을 푸는 것은 하책 중의 하책"이라며 "정권 초기니까 용인되는 것이지, 앞으로 반복적으로 쓸 수 있는 정책 수단은 아니라고 민주당도 인정하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 번 정도는 서울시도 허리띠를 졸라매고 빚을 내서 협조하겠지만, 반복되는 것은 곤란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소비쿠폰보다 오 시장의 대표 정책인 '디딤돌소득'이 더 합리적인 방안이라고 제안했다. 디딤돌소득은 서울시가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기준소득 대비 부족한 가계소득 일정분을 채워주는 제도다.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하후상박형'이다.
오 시장은 "차라리 디딤돌소득을 (중앙정부가) 도입하겠다고 하면 폐업하는 자영업자들이 많은 상황에서 더 시의적절하고 유용한 정책이라고 인정하겠다"며 "이런 정책이 잘 다듬어져 있는데도 일시적으로 돈을 풀겠다고 하는 고집스러운 행태에 마지못해 동의는 하나, 결코 바람직한 정책은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