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트럼프 "의약품 관세 이달말부터…반도체도 비슷한 일정"(종합2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의약품, 낮은 관세율로 시작해 1년 후 매우 높게 책정"
"韓 등 일부 국가 무역 개방 의지…日 등 그렇지 않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이르면 이달 말부터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의약품 관세 이달말부터…반도체도 비슷한 일정"(종합2보)
AD
원본보기 아이콘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피츠버그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하고 워싱턴으로 복귀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의약품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해 질문받자 "아마도 이달 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낮은 관세로 시작해서 제약회사들에 1년 정도 (미국 내 생산 라인을) 건설할 시간을 줄 것"이라며 "그런 다음 우리는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외국산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 일정에 대해 "(의약품과) 비슷하다"며 "덜 복잡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아프리카, 카리브해 주변 등의 '작은 나라들'에 10%가 조금 넘는 상호관세율을 일괄 적용할 것이라면서 곧 관세 서한을 대상국들에 발송할 것이라고 했다.

EPA연합뉴스

EPA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들이 무역을 개방할 의지를 보였지만 "자신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같은 다른 국가들은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5개국에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발송하면서 다음 달 1일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날도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 일정을 재확인하면서 이미 무역 합의를 도출한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외에 5~6개국과 추가로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보내기로 한 미국 무기가 이미 선적되기 시작했다고 밝히고, 해당 무기 관련 비용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타 회원국들이 부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에 미군을 파견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아울러 이란과의 핵 협상 관련해서는 이란 핵시설을 이미 파괴했기 때문에 이란과의 대화를 서두르는 입장은 아니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기준 금리 인하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후임자로 거론되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에 대해 "선택지의 하나"라면서도 "그는 아닌 것 같다. 왜냐하면 나는 그가 (미 재무부 장관으로) 일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