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中 공급 개혁 정책 강해져…철강·화학·건설기계 영향"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中 공급 개혁 정책 강해져…철강·화학·건설기계 영향"
AD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이 지난해부터 대대적인 공급 감소 정책을 펼치고 있다. 미국의 관세압박을 피하는 한편 자원 배분 효율화를 위해서다. 16일 다올투자증권은 '중국 공급개혁의 함의' 보고서에서 향후 중국 공급 개혁 정책 강도가 한단계 더 올라가 철강, 정유화학, 건설기계 업종 감산 영향이 국내에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10년 전인 2015년~2017년에도 '공급 측 구조개혁 정책'을 추진한 바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으로 풀려나간 막대한 유동성이 산업 전 부문에 걸쳐 과잉생산을 유도했기 때문이다. 당시 핵심 과제는 공업 공급 과잉 해소, 부동산 재고 소진, 기업 금융 리스크 최소화, 기업 원가 절감, 유효 공급 확대 등이었다. 공급 개혁 정책으로 철강업계는 2015년 대규모 적자에서 2016년 흑자로 전환했고, 부동산 재고도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약10년만에 비슷한 상황이 재현되고 있다. 작년 11월 중국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은 '수출세 환급제도 축소'를 발표했다. 정부의 부가가치세·소비세 환급제도로 원가를 절감했던 수출 기업들이 저가 물량공세를 펴 왔는데, 이를 없애 수출 물량을 내수로 돌리기 위한 의도였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이 예고된 상황에서 이에 대비하는 의도도 담겨 있었다.


이달 1일 중앙재경경제위원회 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은 '네이쥐안(內卷, 출혈경쟁)' 현상을 언급했다.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을 비롯한 산업 전반에서 지방 정부들이 과잉생산을 유발해 국가 전체적인 산업 경쟁력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015년과 유사한 흐름으로 공급개혁 정책이 진행된다면 국가소유 철강, 시멘트 등에서도 감산 및 규제 강화가 예상된다.


김지현 다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7월 공급개혁 언급은 정책의 강도가 한 단계 더 올라갈 가능성을 열어뒀다"며 "최선호는 철강, 정유화학, 건설기계 업종으로 감산 논의가 이어질 때 주가 반등이 가장 빠르게 전개될 가능성이 있고, 글로벌 수요와 판매량이 더 중요한 태양광, 전기차, 배터리는 후순위"라고 분석했다.




조시영 기자 ibpr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