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브라질산 제품 50% 관세 결정
브라질 "관세 개시일 늦춰달라는 요구 없어"
'맞불 관세' 응수 조짐…소고기 수출 재편 중
트럼프 행정부가 브라질산 제품에 50%의 초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브라질 정부가 "관세 개시일을 늦춰달라고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전운이 감돌고 있다. 연합뉴스는 15일(현지시간) "제라우두 아우키밍 브라질 부통령 겸 산업통상부 장관이 이날 브라질경제인협회를 비롯한 업계 대표들과 회의를 가졌다"고 보도했다.
아우키밍 부통령은 이후 기자회견에서 "업체들은 관세 시행 날짜를 최대 90일 미루는 방향으로 미국과 협상해 줄 것을 우리에게 요청했다"며 "이는 관세 인상 준비를 하기 위함이라는 게 업계 의견"이라고 말했다.
아우키밍 부통령은 "관세 인상 철회 협상을 최우선 순위 과제로 삼되, 미국이 예고한 (관세 시행) 시점이 너무 가까운 점에 대해서도 어필해줄 것을 업계에서 바라고 있다"면서도 "다만 우리 정부는 미국에 관세 개시일을 늦춰 달라는 요구를 하지 않을 계획이며, 오는 31일까지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은 미국 측의 50%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경제 호혜주의법에 따른 맞불 관세'를 공언한 바 있다. 이에 룰라 대통령은 14일 미국이 50%의 '관세 폭탄'을 던질 경우 브라질 역시 같은 비율의 관세 부과로 응수할 수 있다는 내용의 대통령령에 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브라질 업계는 정부의 맞불 관세 가능성에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전달하면서도 큰 틀에서 정부에 협력하겠다는 의견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매체 G1은 "브라질 소고기 수출업체들은 이미 생산량 조정에 착수했다"며 "이들은 주로 미국 식품 가공 업체에서 원하는 물량을 공급하고 있는데, 이미 8월 상반기까지 생산량을 비축해 놓은 상태에서 추가 도축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마투그로수두술주(州) 육류가공산업연합회는 G1에 "미국 시장에 수출될 제품의 비축량 초과 사태를 막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미국과의 합의가 어려워질 경우 중국을 비롯한 다른 수출처로 물량을 돌릴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 소고기 수출국이다. 한 해엠나 약 2억마리의 소를 사육한다. 브라질육류수출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81만t의 소고기를 생산해 375t을 수출했다. 물량의 48.8%는 중국으로 향했으며, 미국(12.1%)과 칠레(4.76%)가 뒤를 이었다. 브라질육류수출업협회는 "우리는 새로운 파트너들과 협력해 글로벌 수출처 재편을 진행 중"이라며 "미국이 육류를 수입할 수 없게 될 경우 중국, 동남아시아, 중동이 가장 명확한 목적지"라고 설명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