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체취, 음식 탓 일수도…냄새 유발하는 음식 4가지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생선·채소·향신료·붉은 고기 체취에 악영향"

음식이 체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부 식품의 경우 체취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펙셀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펙셀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포스트는 체취를 악화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음식 4가지로 생선, 채소, 향신료, 붉은 고기를 꼽았다.

먼저 생선의 경우 특유의 비린내는 단순히 음식에서 나는 냄새를 넘어 사람의 체취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의료 연구 기관 클리블랜드 클리닉에 따르면 매우 드물게 인체는 생선 내 부산물인 콜린을 트라이메틸아민이라는 비린내 나는 화합물로 전환한다.


이 물질은 몸 전체를 순환하다가 호흡이나 피부를 통해 배출된다. 이 질환은 '트라이메틸아민뇨증'이라 부르는데 환자는 콩,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땅콩, 콩 제품 등 다른 식품을 섭취한 후에도 비슷한 비린내가 날 수 있다. 다만 클리블랜드 클리닉은 "이런 극히 드문 질환은 수백 명 정도에게만 나타난다"며 "대부분은 생선을 걱정 없이 먹을 수 있다"고 전했다.


생선·채소·향신료·붉은 고기 등의 음식을 섭취하면 체취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생선·채소·향신료·붉은 고기 등의 음식을 섭취하면 체취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원본보기 아이콘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진 채소 중에서도 일부는 체취를 유발할 수 있다. 클리블랜드 클리닉은 브로콜리, 양배추, 콜리플라워, 방울양배추 같은 십자화과 채소는 황산을 배출해 체취를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냄새는 땀이나 호흡, 가스를 통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향신료도 체취 악화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뉴저지의 영양사 에린 팔린스키-웨이드는 한 매체에 "일부 매운 음식은 황을 포함한 화합물과 대사산물 때문에 체취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이 체내에서 분비될 때 피부 박테리아와 반응하면서 특정한 냄새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클리블랜드 클리닉도 카레와 커민 등 향신료는 혈류에 흡수된 뒤 땀샘을 통해 분비되는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 독특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붉은 고기를 많이 먹는 것도 몸에서 나는 나쁜 냄새의 원인이 된다. 팔린스키-웨이드는 "많은 양의 붉은 고기를 먹으면 무취 단백질이 땀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들이 피부 박테리아와 만나면 냄새가 강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유전적 요인에 따라 음식이 체취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체취가 강한 경우 식단 조절을 통해 이를 완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팔린스키-웨이드는 "황 성분이 풍부한 음식이나 붉은 고기, 매우 매운 음식의 섭취를 줄이고 수분과 과일, 채소 섭취를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사과, 잎채소, 요거트, 녹차 등은 체취를 유발하는 화합물을 중화하거나 장내 유익균을 돕는 기능을 통해 체취 개선에 효과적이다. 항균 비누를 이용해 씻고, 통기성 좋은 옷을 입는 것도 체취 개선에 도움이 된다.


팔린스키-웨이드는 "충분한 수분 섭취 외에도 숙면, 스트레스 감소,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대사 건강을 개선하는 것이 전반적인 체취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