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처 등 합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
행안부, 불합리한 관행 타파 노력
"불합리한 관행 지속적으로 개선"
하위직 공무원들이 사비를 모아 상급자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간부 모시는 날'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공직사회에서는 이를 악습으로 규정하고 하위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정부가 나서 관행 타파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1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4월 인사혁신처와 합동으로 실시한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결과 최근 1개월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응답자는 11.1%로 확인됐다. 이는 직전 조사(2024년 11월) 대비 7% 포인트 감소한 수준이다.
특히 중앙보다는 지방에서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이 기간 중앙에서의 '간부 모시는 날'은 10.1%에서 7.7%로 2.4%포인트 감소한 반면 지방자치단체에서는 23.9%에서 12.2%로 11.7%포인트나 줄었다. 이번 조사는 중앙·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e사람'(중앙) 및 '인사랑'(지방자치단체) 시스템을 통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총 11만3404명(중앙 2만8809명·지방자치단체 8만4595명)이 참여했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전체 응답자 중 32.8%가 지난 조사 후 '간부 모시는 날'이 줄어들고 있다고 대답한 점이다. 이러한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로 '간부 공무원의 인식 개선(42.9%)'을 꼽았다. '원래 없었다'고 답변한 응답자도 전체의 48.1%를 차지했다.
모셨던 간부의 직위는 부서장(과장급)이 75.9%로 가장 높았고 '간부 모시는 날'이 지속되고 있는 원인으로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조직 분위기와 관행(35.8%)'을 지적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75.6%는 '간부-직원 간 건전한 대화와 소통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상하 간 소통 자체는 여전히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동안 행안부와 인사혁신처, 국민권익위원회는 '간부 모시는 날'을 근절하기 위한 대책 회의와 현장간담회를 열어 기관 차원의 개선을 권고한 바 있다. 특히 범정부 혁신 네트워크를 운영해 중앙·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불합리한 관행 근절 분위기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관행적 부패·갑질 행위 등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행위에 대한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하기도 했다.
현장의 변화도 눈에 띈다. 충남 청양군은 '간부 모시는 날 제로화' 등 조직문화 혁신을 위한 '행정 PRO(Perfect·Reduce·Open) 운동'을 추진했고 전북특별자치도는 자체 실태조사를 실시해 간부회의 시 관련 내용을 공유·논의하는 등 지방자치단체 자체적으로도 근절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민재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은 "잘못된 관행을 완전히 뿌리 뽑기 위해서는 간부들의 의지와 솔선수범이 가장 중요하다"며 "공직사회 내 불합리한 관행을 지속적으로 발굴·개선해 공무원들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공직 환경을 만들기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