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단체, 14일 국회 복지위와 비공개 면담
19일 임시총회 열어 대정부 요구안 확정
입대 연기·전문의 시험 추가 등 요구할 듯
의·정 갈등 사태로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수련 현장에 복귀하기 위한 논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들은 정치권과 접촉하며 오는 9월 복귀를 타진하고 있는 가운데 수련환경 개선과 사법 리스크 완화 등 선결 조건을 앞세워 복귀 명분을 쌓고 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회의실에서 열린 '중증·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에서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등 여당 의원들과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 등 사직 전공의들이 마주 앉았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중증·핵심의료 현장의 어려움과 관련 제도 및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등 당면한 과제와 중장기적인 과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자는 데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대전협은 이날 중증·핵심의료 관련 전공의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도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수련을 중도 포기하겠다고 밝힌 전공의의 88%가 중증·핵심의료과 소속이었고, 과를 변경할 예정인 전공의 중에서도 94.1%가 중증·핵심의료과에 속해 있었다. 전공의들이 열악한 근무 환경을 이유로 복귀를 거부하는 상황이 가장 시급히 해결돼야 할 문제라는 것이다.
김재연 대전협 비대위원은 "중증·핵심의료 분야는 전공의 1인당 환자 수가 과도하게 배정되는 편"이라며 "기대했던 수련과 현실 간 괴리가 커져 흥미를 잃고 중도 이탈하는 사례가 많다"고 설명했다. 박경수 대전협 비대위원은 의도치 않은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해소를 핵심 과제로 제시하며 "사법 리스크가 완화되면 의사들은 더 책임감 있게 진료할 수 있고 환자들도 더 나은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날 간담회에서 당초 논의될 것으로 예상됐던 병역 특례, 전문의 시험 추가 실시 등 전공의들의 구체적인 복귀 조건은 다뤄지지 않았다. 특혜 논란 등 국민 여론이 악화할 것을 의식한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대전협은 이날 국회와 논의한 결과를 토대로 오는 19일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 대표들이 모이는 임시 대의원총회를 열어 전공의들의 의견을 다시 수렴하고 대정부 요구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전공의들은 군 미필 전공의들의 입영 연기와 입대 전공의들의 제대 후 수련병원 복귀 보장, 수련 기간 단축 등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부적으로 복귀 조건이 확정되면 보건복지부 등 정부 측과도 본격적인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한 비대위원장은 "그간의 사태로 환자와 보호자께서 겪으셨을 불안함에 마음이 무겁다"며 "더 나은 의료라는 환자와 의료계의 공동 목표를 향한 고민과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