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연구원, 엑사원 4.0 공개
의사 등 국가공인시험까지 통과
글로벌 최고 수준의 성능 입증
LG 인공지능(AI) 연구원이 '의사 시험'까지 통과한 '엑사원(EXAONE) 4.0'을 공개하며 'AI 산업화'를 주도한다. 지식 기반의 빠른 답변에 강점을 가진 대규모언어모델(LLM)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추론 AI 모델을 결합한 형태로, 국내 최초의 하이브리드 AI 모델이다.
전문가 모델은 국가 공인 전문가 시험을 통과할 정도로 뛰어난 성능을 갖췄으며, 가전·로봇 등에 탑재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 모델 역시 오픈AI GPT-4o mini의 능력치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LG는 엑사원 4.0 상용화를 통해 AI 기술의 산업 도입을 가속한다는 전략이다.
LG AI연구원은 국내 첫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 4.0을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시점에서 하이브리드 AI 모델을 공개한 건 미국의 앤스로픽, 중국의 알리바바 등에 불과하다. 챗GPT로 널리 알려진 오픈AI 역시 GPT-5 모델을 하이브리드 모델로 개발 중인 단계다.

배경훈 LG AI 연구원장이 올해 3월 미국 캘리포아니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GTC)에서 '엑사원 딥'을 소개하고 있다. LG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벤치마크에선 미국·중국·프랑스의 대표 오픈 웨이트 모델들을 제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증명했다. 평가 항목별로 ▲일반·추론 능력 92.3점 ▲고난도 전문지식 81.8점 ▲코딩 능력 66.7점 ▲과학문제 해결 75.4점 ▲수학문제 해결 85.3점 등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엑사원 4.0은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높은 수준의 답변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엑사원 4.0은 32B(매개변수 320억개) 크기의 전문가 모델과 1.2B(매개변수 12억개) 규모의 온디바이스 모델로 나뉜다. 전문가 모델의 경우 의사·치과의사·한약사·관세사·감정평가사·손해사정사 등 6가지 국가 공인 전문 자격증 필기시험을 통과하며 전문성을 입증했다.
온디바이스 모델은 지난해 12월 공개된 엑사원 3.5(2.4B 모델) 대비 크기는 절반으로 줄면서도, 수학·코딩·과학 등 전문 분야 평가 지표에서 미국 오픈AI GPT-4o mini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유사한 규모의 AI 모델 중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이란 게 LG의 설명이다. 온디바이스 모델은 가전·로봇 등에 탑재 가능해 이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LG AI연구원은 AI 산업화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엑사원 4.0 상용화'에 나선다. 프렌들리AI 측과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다. 개인 개발자부터 기업까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없이도 누구나 엑사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LG AI연구원은 API 공개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기술 도입을 가속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진식 LG AI연구원 엑사원랩장은 "엑사원이 한국을 대표하는 프론티어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지속하겠다"며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LG AI연구원은 오는 22일 서울 LG사이언스파크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엑사원 4.0을 비롯한 AI 기술 연구개발(R&D) 성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