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로로피아나 사법 제재
'다단계 하청' 주며 중국 노동자 착취 정황
"불법 행위 고의로 감독 않고 이득 취해"
세계 최대의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의 이탈리아 계열사 로로피아나가 중국 하청업체 노동자에게 저임금을 주고 노동 착취를 한 정황이 드러났다. 연합뉴스는 1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일간지 코리에레델라세라를 인용해 "밀라노 법원이 이날 로로피아나를 1년간 사법 관리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로로피아나는 의류 공급업체에 의류 제작 하청을 줬고, 이 하청업체는 다시 밀라노 인근에 있는 중국 업체에 하청을 줬다. 2차 하청업체는 불법 체류 중인 아시아인 노동자들을 고용해 야간, 공휴일에도 작업을 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이탈리아 당국은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노동자들이 법정 근로 시간을 훨씬 초과해 장시간 근무한 사실을 밝혀냈다. 또 불법 기숙사, 비위생적인 작업 환경, 안전장치 없는 기계 사용 등 열악한 노동 환경이 드러났다.
로로피아나에 대한 의혹 제기는 지난 5월 밀라노 노동 보호국의 카라비니에리 경찰이 중국인 공장주를 체포하고, 밀라노 북서쪽 교회에 있는 그의 공장을 폐쇄한 뒤 시작됐다. 한 근로자는 고용주에게 맞아 45일간의 치료가 필요한 상처를 입었다고 신고했고, 미지급된 임금이 1만유로(약 1600만원)에 달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카라비니에리 경찰은 해당 작업장에서 로로피아나의 캐시미어 재킷을 생산했으며, 불법 이민자 5명을 포함한 중국인 노동자 10명이 주 7일, 주당 최대 90시간 강제 노동을 한 사실을 파악했다. 이들이 시급 4유로(약 6500원)를 받고 공장 내에 불법으로 설치된 방에서 잠을 잤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공장에서는 연간 약 6000~7000벌의 로로피아나 재킷을 생산해 왔으며, 주문 수량이 100개 이상이면 한 벌당 118유로(약 19만원), 100개 미만이면 128유로(약 12만 6000원)를 받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로로피아나의 남성용 캐시미어 재킷의 판매가는 3000유로(약 484만원)에서 5000유로(약 806만원)에 이른다.
밀라노 법원은 "로로피아나가 하청업체들의 불법 행위를 고의로 감독하지 않아 이득을 취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로로피아나는 앞으로 1년간 법원의 감시를 받게 된다. 다만 법적 요구에 맞춰 관행을 바꾸면 행정 절차가 조기에 종료될 수 있다. 로로피아나는 성명을 통해 "공급업체가 자사에 알리지 않고 하도급 계약을 맺어 법적, 계약적 의무를 위반했다"며 "이 사실을 알게 된 지난 5월 해당 공급업체와 계약을 종료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탈리아에서 명품 업체들이 생산 비용 절감과 이윤 극대화를 위해 다단계 하청을 줬다가 적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매체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이후 발렌티노, 디올, 아르마니, 알비에로 마르티니가 법정 관리를 받았다. 지난해 디올이 2600유로(당시 약 384만원)에 판매한 가방의 원가가 53유로(약 8만원)에 불과했다는 보도가 나와 충격을 안긴 바 있다. 디올과 계약된 하청업체도 불법 중국인 체류자를 고용해 24시간 휴일 없이 공장을 운영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가격 좀 올려도 되는데" 물가 폭등에도 꿈쩍도 안 하네…불황 버티는 美 간식들[글로벌포커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82815435210658_175636343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