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소음·무단투기·경관훼손' 잇단 민원
"행정 뒷짐에 시민 피해…철거 등 결단을"

이명노 광주시의회 의원이 14일 본회의장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도심 흉물로 방치되고 있는 서진병원 건축물에 대한 광주시의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광주시의회 제공
광주시의회 이명노 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3)은 14일 열린 제334회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30년 넘게 방치된 서진병원 문제는 더는 미뤄둘 수 없는 민생 현안인데, 광주시는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진병원은 1982년 서남대학교가 의대 유치를 위해 착공했으나, 1989년 자금난으로 공사가 중단된 이후 30년 넘게 방치되고 있는 대표적인 도심 흉물이다.
특히 서진여고·대광여고 등 교육시설과 주택가에 인접해 있어 악취와 소음, 무단투기, 경관 훼손 등으로 인근 주민과 학생들의 고통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의원은 "이 건물은 서진여고·대광여고 등 학생들의 통학로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며, 악취·소음·무단 투기 등으로 학부모와 지역 주민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그런데도 시는 법적 책임이 없다며 중재 시도도, 매입 제안도, 활용 계획도 내놓지 않은 채 수년간 방치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그는 "'공사중단 장기방치건축물의 정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방치건축물정비법)에 따르면 공익상 유해한 건축물에 대해 시·도지사가 철거를 명할 수 있으며, 건축주가 정당한 사유 없이 이행하지 않을 경우 직접 철거나 권리 취득 등의 조치도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전제, 올해 말까지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시가 철거 의지를 갖고 있는지 물었다.
이에 대해 강기정 시장은 "사유물에 대한 철거는 실익이 있어야 가능하다"며 "현재로선 철거하거나 권리를 취득할 의지가 전혀 없다"고 답변했다.
이같은 답변에 이 의원은 "광주시는 수년간 실태조사만 반복해온 채 정작 시민들이 기대하는 정비 실행 계획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계속해서 판단을 미룬다면 이는 시민 안전과 민생을 경시하는 무책임한 행정이다"고 비판했다.
이어 "소송이 진행 중이라면 시가 직접 중재에 나서거나 건축분쟁전문위원회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며, 민간과 협의한 활용 방안 마련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의원은 "이제는 광주시가 도시미관·학생안전·주민불편 등 다각적 관점에서 판단하고 결단해야 할 때다"며 "서진병원 문제는 광주시의 도시공간 정책 방향성과 책임성을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