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차 지연 대책 시급…광역이동 보장"
광주시의회 서용규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14일 제334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을 통해 광주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운영 전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광주시의 대대적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서 의원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위한 전용차량 8대로 출발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가 현재 331대(전용차량 128대, 바우처택시 202대, 다인승버스 1대)로 확대됐지만, 여전히 이용자들이 체감하는 서비스 질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대기시간이 많게는 4~5시간까지 소요되는 현실은 교통약자의 생존권 침해다"고 밝혔다.
서 의원은 광주시가 지난 2020년부터 6억4,000만원을 투입해 운영 중인 AI기반 자동배차시스템과 관련, "시스템 도입 이후에도 여전히 수 시간 대기 불편이 지속되고 있고, 실제 배차는 상담원 지정배차와 AI배차가 혼용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AI자동배차시스템과는 거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의 광역이동 지원체계에 대해서는 "전남지역 등으로의 광역운행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이용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며 "인접 지자체와의 협약 체결, 즉시콜 도입 확대, 요금제 합리화 등을 통해 실질적 광역 이동권이 보장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또 "광주가 진정한 복지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선 이동권이라는 기본권부터 철저히 보장돼야 한다"면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운영 전반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