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주말엔 '현금 쿠폰' 음식값 '0원'…배달앱 출혈 경쟁 심해지는 中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메이퇀·어러머 양강구도에 징둥 가세
현금 쿠폰 등 보조금 지급 점입가경

중국 배달앱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배송료는 물론 음식값까지 모두 없앤 '0원 배달' 사례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는 14일 중국 펑파이 등을 인용해 알리바바그룹 산하의 타오바오-어러머와 텐센트 계열의 메이퇀 등 중국 대형 배달 플랫폼들이 이달 초부터 주말마다 쿠폰을 대규모로 배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플랫폼들은 가격별로 구간을 나눠 일정 금액 이하는 아예 음식값과 배달료를 모두 받지 않기도 한다.

타오바오는 지난 2일 500억위안(약 9조6000억원) 규모의 보조금 계획을 내놓고, 향후 12개월 동안 소비자와 매장에 현금 쿠폰과 무료 주문권 등 형태로 직접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히면서 제일 먼저 출혈 경쟁의 포문을 열었다.


중국 베이징의 거리에서 배달기사들이 스쿠터를 타고 있다. EPA 연합뉴스

중국 베이징의 거리에서 배달기사들이 스쿠터를 타고 있다. EPA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타오바오와 어러머는 토요일이었던 지난 5일 집중적으로 쿠폰을 뿌려 하루 주문량이 8000만건을 넘겼다. 이는 지난 5월 초 일일 주문량 1000만건을 돌파한 지 두 달 만에 주문량이 8배까지 폭증한 것이다. 한 주 후인 지난 12일에는 경쟁이 더 치열해졌다. 선제공격에 나선 타오바오와 어러머는 12일에도 무료 행사를 벌였고, 여기에 중국 최대 배달앱인 메이퇀이 가세했다. 메이퇀은 메인 화면에 '0위안 배달' 쿠폰 배너를 크게 띄우며 맞대응했다. '중국의 스타벅스'로 불리는 루이싱커피와 아이스크림 체인 미쉐빙청, 차 프랜차이즈 구밍 등이 무료 구매 메뉴에 자주 등장하는 브랜드이며, 만두 체인점 '바비만터우'와 즉석 죽 업체 '만링저우' 등도 할인 배달 대상이다. 배달앱으로는 후발주자인 전자상거래 플랫폼 징둥 또한 할인 경쟁에 뛰어들었다. 징둥은 100억위안(약 1조9000억원)을 투입해 경쟁 판에 가세했다.


이처럼 배달앱들의 '치킨 게임'이 이어지자 배달 음료 가격은 크게 내려갔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주문이 폭증해 밀크티 100여잔이 쌓인 매대와 음료를 기다리는 배달 기사·소비자로 가득한 매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영상이 잇따라 올라왔다. 일부 음료 판매점의 대기 번호는 1000번 이상까지 늘어나 주문 후 대기 시간이 1시간 넘게 걸리기도 했다.

중국 경제 데이터 분석업체 윈드에 따르면 중국의 배달 시장 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세 속에 1조위안(약 190조원) 규모를 넘어섰다. 작년 말 기준 중국 배달앱 이용자는 약 5억9200만명이다. 여러 해 동안 중국 배달앱 시장은 메이퇀과 어러머가 대부분을 점유하는 구조였는데, 올해 들어 자본력을 앞세운 징둥이 판에 뛰어들면서 3대 업체 간에 상품 가격 인하는 물론 배달원 유치까지 전방위로 치열한 경쟁이 일어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이 '배달 전쟁'이 앞으로도 오랜 시간 이어지며 올해 2분기에만 모두 250억위안(약 4조8000억원)을 투자한 3대 업체가 대규모로 손실을 볼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올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어러머가 410억위안(약 7조9000억원), 징둥이 260억위안(약 5조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메이퇀의 영업이익은 250억위안(약 4조8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