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 간담회
힌지·디스플레이 내구성, 성능 강화 강조
폴드7 2억화소 카메라…플립7 베젤 1.25㎜
"폴더블 폰을 더 얇게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바 타입 스마트폰보다도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내부 설계부터 부품 배치까지 모든 것을 새롭게 해야 했습니다."
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갤럭시 Z 폴드7과 플립7은 단순한 개선이 아닌 폴더블 스마트폰의 미래를 재정의하는 제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선보인 갤럭시 Z 폴드7과 플립7은 디자인과 내구성,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모두 혁신한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폴드7은 접었을 때 8.9㎜, 펼쳤을 때 4.2㎜로 이는 1세대 폴드 모델 대비 두께가 48% 줄었다. 무게는 215g으로, 갤럭시 S25 울트라보다 가볍다.
그는 "'얇고 가볍게'가 아니라 '제대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매 선택의 지점에서 최고의 균형점을 찾아 가장 완성도 높은 폴더블을 만드는 것에 집중했다"면서 "혁신은 단순히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중심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강 상무는 폴드7의 주요 혁신 요소를 강조했다. 우선 강화된 '아머 플렉스힌지(Armor FlexHinge)'를 적용해 전작 대비 두께는 27%, 무게는 43% 줄이고 내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내부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디스플레이 혁신을 위해 패널 구조를 최적화하고 새로운 고급 소재를 적용해 전체 두께를 39% 줄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하단 구조 소재를 기존 카본 파이버에서 티타늄 합금으로 교체해 내구성을 강화했다.
새로운 액추에이터와 전체적인 구조를 재설계해 카메라 모듈 크기를 18% 줄이고 2억화소 카메라를 구현했다. 커버 스크린은 이전 세대 대비 강도가 약 30% 향상된 코닝® 고릴라® 글라스 세라믹 2를 적용했고, 프레임과 힌지 커버는 강화된 아머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등 내구성을 높였다.
플립7은 펼쳤을 때 6.5㎜, 접었을 때 13.7㎜로, 이전보다 더 콤팩트한 디자인과 뛰어난 휴대성이 특징이다.
강 상무는 힌지 두께를 전작 대비 29% 줄였지만 안정적인 플렉스 모드와 내구성은 그대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또한 카메라, 리시버, 마이크 같은 부품 사이 공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고밀도 회로 기판을 새롭게 설계해 전 갤럭시 스마트폰 중 가장 집적도 높은 내부 실장을 갖췄다.
카메라 모듈, 배터리 등 주요 내부 부품 모두 부피를 더 얇게 최적화했다. 특히 배터리는 더 콤팩트해지면서도 용량은 전작보다 300mAh 커져 더 긴 사용 시간을 제공한다.
플립7은 휴대성과 함께 디자인의 완성도를 한층 높였다. 모든 면의 가장자리까지 시원하게 확장된 커버 스크린 디자인으로 더 깔끔한 화면 구성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베젤은 전작 대비 70% 얇아진 1.25㎜로 더 넓은 화면 사용성과 세련된 디자인을 동시에 구현했다.
강 상무는 "플립7은 단순히 작은 크기가 아니라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사용성을 제공하는 제품"이라며 "이것이 바로 혁신의 진정한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폴드7과 플립7은 디자인과 내구성, 사용자 경험의 완벽한 균형을 찾아낸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요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폴더블 영역에서 삼성만의 혁신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자식이 안 물려받는다는데"…이제 '남'에게도 기업 승계 가능해진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22008325229068_16768495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