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정동영 "폐허된 남북관계 복원해야…1단계 화해·협력부터 다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정동영 통일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평화공존 통해 통일로 나가야"

정동영 통일부장관 후보자는 14일 "폐허가 돼 버린 남북관계를 다시 복원하고 무너진 한반도의 평화 공존체제를 재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서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 시기에 남북이 합의한 것에 대한 이행방안을 고민하면서 멈춰서 버린 1단계 화해·협력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AI G3 강국 신기술 전략 조찬 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2025.7.9. 김현민 기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AI G3 강국 신기술 전략 조찬 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2025.7.9. 김현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정 후보자는 "강대국 간의 전략경쟁 심화로 국제질서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환경의 유동성이 극대화되고 있고, 남북관계의 구조적 환경도 어느 때보다 악화한 상태"라며 "엄혹한 국제정세 앞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희망과 기대보다 걱정과 우려의 시선이 큰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이어 정 후보자는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체결, 6·15 공동선언, 10·4 정상선언, 4·27 판문점 선언, 9·19 남북군사합의 등 그간 역대 정부가 이뤄온 남북 간 합의를 거론했다.


그는 "지난 시기를 돌아보면 급변하는 국제질서와 강대국 정치의 틈바구니에서도 우리는 한반도 평화 구축의 역사를 쉼 없이 써내려 왔다"며" 불가능해 보였지만 국민들의 인내와 저력이 만들어 낸 역사적 산물"이라고 했다.


정 후보자는 "남북관계가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지 않도록 한반도의 평화 공존을 향한 작은 발걸음을 통해서 사실상의 통일로 계속 나아가야 할 것"이라면서 "그것이 우리 민족이 살고 한반도가 번영하는 길이다. 20세기 말 독일 민족은 그 길을 걸었고 결국 하나가 됐다"고 했다.

정 후보자는 또 "저는 한국전쟁의 포성이 멈춘 바로 그 날 세상에 나왔다. 짧지 않은 정치 인생에서 남북관계와 한반도 평화 문제는 빛과 실처럼 제 삶을 비추는 화두"라면서 "여러분께서 힘을 보태 주신다면 그동안 쌓아 온 저의 경험을 남북관계 복원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해 바치겠다"고 밝혔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