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류에 부산 파도 태운다… 부산시, 중앙아시아 시장 공략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부산시(시장 박형준)와 부산경제진흥원(원장 송복철)이 중앙아시아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시는 '2025 중앙아시아 무역사절단'을 구성해 오는 9월 15일부터 20일까지 카자흐스탄 알마티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지역 중소기업을 파견할 계획이라고 14일 알렸다.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산업재와 소비재 수요가 모두 높은 신흥시장으로 시가 전략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해외 거점이다. 시는 이번 사절단을 산업재와 소비재를 아우르는 종합 품목 중심으로 구성하고 참가기업을 오는 21일까지 부산경제진흥원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을 통해 모집하고 있다.


참가기업은 현지에서 수출상담회와 구매자 매칭, 개별 방문상담, 세미나 등에 참여하며 왕복 항공료의 50%를 포함한 상담회 운영 제반 비용도 지원받게 된다. 시는 8개 기업 기준 72건 이상의 상담과 기업당 450만달러 규모의 계약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사절단 성과보다 18%가량 상향된 수치다.


중앙아시아는 높은 시장 선호도를 갖고 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국민의 84.1%가 최근 4년간 한국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즈베키스탄은 한국의 중앙아시아 최대 수출입 파트너로 현지 바이어와의 유대 강화에 따른 협력 확대가 기대된다.

시는 최근 대외 통상환경 변화에도 적극 대응하고 있다. 지난 7일에는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지역 수출기업들과 '수출위기 대응 점검회의'를 열고 미 관세 부과에 따른 피해 우려를 공유해 신시장 개척 필요성에 공감대를 모았다. 이번 무역사절단 파견은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 대미 수출 의존도를 줄이고 수출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한 전략시장 중심의 대응책이다.


김봉철 시 디지털경제실장은 "세계 통상환경이 빠르게 바뀌는 상황에서 수출기업이 다양한 글로벌 수요처를 만날 수 있도록 시가 든든한 교두보 역할을 해야 할 때"라며 "실효성 있는 해외시장 개척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겠다"고 힘줬다.

부산시청.

부산시청.

AD
원본보기 아이콘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