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경북·강원 등서 사망사고 속출
전문가 "단독·야간 채취는 위험"
여름철을 맞아 하천에서 다슬기를 채취하다가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13일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2024년) 6월부터 8월 사이에 발생한 다슬기 관련 수난 사고 구조 활동은 총 59건이며 이 중 14명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다.
이날 연합뉴스는 올해도 충북, 경북, 강원 등 전국 곳곳에서 다슬기 채취 중 사망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5일 오전 9시57분께 경북 문경시 가은읍 영강에서는 다슬기를 잡던 80대 여성이 숨진 채 발견됐다. 또한 4일 오후 1시30분께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운암길 감천에서는 다슬기 채집망을 착용하고 물에 들어간 60대 남성이 심정지 상태로 인근 주민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숨졌다.
앞서 지난달 30일 오후 10시48분 충북 보은군 보은읍의 한 하천에서도 다슬기를 잡던 80대 A씨가 물에 빠져 숨졌다. 함께 다슬기를 잡으러 나갔던 아내는 경찰 조사에서 "남편이 돌을 잘못 밟았는지 갑자기 미끄러지더니 사라졌다"고 진술했다. A씨는 당시 아내와 약 100m 떨어진 곳에서 다슬기를 채취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날 오후 11시53분쯤 경북 영천시 화남면 금호리 고현천 수중보 근처에선 80대가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다슬기를 잡으러 간다며 집을 나섰다가 늦은 시간까지 귀가하지 않아 가족들이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틀 앞선 지난달 28일 오후 5시31분 강원 인제군 상남면 미산리의 계곡에서도 다슬기를 잡던 60대가 2m 깊이의 물에 빠져 숨진 채 발견됐다.
해장국 재료 등으로 쓰이는 다슬기는 하천의 돌 틈이나 바닥에서 누구나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수산물이다. 하지만 다슬기 잡는 재미에 빠졌다간 자기도 모르게 물살이 세거나 수심이 깊은 곳으로 들어가거나 움푹 팬 곳을 밟아 순식간에 물에 빠질 수 있다.
이장현 충주소방서 구조 2팀장은 "잔잔해 보이는 하천이라도 몸을 움직이다 보면 갑자기 수심이 깊어지는 웅덩이를 만날 수 있고, 물살이 센 곳에 들어가 급류에 휩쓸릴 우려도 있다"며 "아무리 수영에 능한 사람이라도 물속에서 넘어지는 등 순간적으로 당황하면 대처 능력을 잃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소한의 안전 장구로 구명조끼만 입어도 최악의 상황은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야행성인 다슬기를 찾아 늦은 저녁에 물속에 들어갔다가 위험한 상황에 놓이는 경우도 있다. 구조 당국은 "날이 저문 뒤 혼자 다슬기를 잡는 것은 목숨을 담보로 한 위험한 행동"이라며 절대 삼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자식이 안 물려받는다는데"…이제 '남'에게도 기업 승계 가능해진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22008325229068_16768495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