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바지락 칼국수 못 먹게 되나…흔했던 '바지락' 밥상에서 사라질 수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언제나 흔하게 여겨졌던 바지락에 대해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후변화로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2050년에는 바지락 생산량이 현재의 절반 이하로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13일 한국기후변화학회에 따르면 정필규 국립부경대학교 자원환경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바지락 생산량 변화와 그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해수 온도 상승, 2050년 생산량 절반 이하 감소

언제나 흔하게 여겨졌던 바지락에 대해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후변화로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2050년에는 바지락 생산량이 현재의 절반 이하로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13일 한국기후변화학회에 따르면 정필규 국립부경대학교 자원환경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바지락 생산량 변화와 그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바지락. 연합뉴스

바지락.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정 연구원은 '온실가스를 현재 수준으로 배출하는 경우'(SSP5-8.5·고탄소 시나리오), '탄소를 서서히 줄여가는 경우'(SSP2-4.5·중탄소 시나리오), '2070년께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경우'(SSP1-2.6·저탄소 시나리오) 바지락 생산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전망했다.


분석 결과 고탄소 시나리오를 가정할 때 2041∼2050년 바지락 생산량은 2000∼2022년 대비 52.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중탄소 시나리오에선 생산량이 37.9%,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29.2% 감소했다. 탄소배출을 줄이는 경우 바지락 생산량이 감소하긴 하지만 감소율은 낮아졌다.

국내 조간대에 서식하는 이매패류 가운데 가장 많이 잡히는 조개가 바지락이다. 결국 생산량 감소가 가져오는 경제적 피해도 클 것으로 예측됐다.


바지락 가격을 2013∼2022년 평균인 1㎏당 3015원으로 계산할 때 생산량 감소에 따른 국내 어민들의 잠재적 손실은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460억7000억원,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258억8000만원으로 추산됐다.


앞서 6월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는 평균 19.3도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0.3도 낮았다. 해역별로는 서해 18.2도, 동해 19.4도, 남해 20.3도로 각각 최근 10년 평균보다 0.1~0.6도 낮았다. 봄철 해수면 온도가 낮았던 영향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한편, 유럽 전역도 이상기후로 지중해 해수면 온도가 6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폭염의 핵심 원인은 지중해 해수면 온도 상승이 원인으로 뽑힌다. 프랑스 기상청은 "지중해 해수면 온도가 6월 기준 역대 최고치인 26.04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1991년~2020년 6월 평년 치보다 약 2도 높은 수치다. 코르시카, 리옹만, 스페인 동쪽 발레아레스 제도 인근에서도 평년보다 5도 이상 높은 수온이 측정됐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