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적도 사는 고래가 이곳까지"…부산 앞바다에 나타난 새끼 향고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몸 길이 7m…무리서 이탈한 듯
울산 해경 등, 외해로 내보내려 유도

부산 기장군 대변항에서 새끼 향고래 한 마리가 발견돼 해경 등이 먼바다로 유도 중이다.


13일 연합뉴스는 울산해양경찰서를 인용해 이날 오전 5시 5분께 부산 기장군 연화리 앞바다에서 "고래가 바위에 걸린 것 같다"는 낚시객 신고가 접수됐다고 보도했다.

현장에 출동한 울산 해경은 고래가 먼바다로 빠져나간 것으로 파악해 상황을 종료했다. 하지만 2시간 이후 고래가 다시 나타났다는 추가 신고가 들어왔다. 확인 결과 이 고래는 한때 방파제 밖까지 나갔다가 다시 대변항 안쪽까지 들어온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정오쯤 고래는 기장군 대변항에서 맨눈으로 관찰 가능할 정도로 얕은 수심까지 이동한 상태다.


13일 부산 기장군 대변항에 나타난 새끼 향고래. 울산해양경찰서, 연합뉴스

13일 부산 기장군 대변항에 나타난 새끼 향고래. 울산해양경찰서,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 고래는 길이 7~8m 새끼 향고래로 추정된다. 향고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이빨 고래로, 입 안에 있는 길고 뾰족한 이빨로 먹이를 사냥한다. 수컷은 최대 18m, 암컷은 11~12m에 이르며 수컷 무게는 최대 45t이다. 향고래는 장 속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인 향유가 고급 향수의 원료로 사용돼 향(香)고래라는 이름이 붙었다. 특히 미국 작가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 딕'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다. 향고래의 주 서식지는 아프리카 적도 근처의 바다인데 여름철에는 수온이 비교적 낮은 고위도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와 부산아쿠아리움 관계자 등이 현장에 도착해 고래 상태를 확인하고 먼바다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해경은 구조정을 배치하고 어선이 고래 주변으로 근접하지 못하도록 현장에서 안전관리 중이다.

이경리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박사는 "적도 부근 먼바다를 회유하는 개체들이나 여름이 되면 고위도로 이동하는 특성이 있어 우리나라 해역을 지나지만, 연안으로 오는 건 이례적인 일"이라며 "무리나 엄마 고래로부터 떨어져 혼자 대변항 쪽으로 왔는데 방향 감각이 부족해 먼바다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월에도 길이 15m 향고래가 전남 광양항 송도 연안에서 5일간 머물다가 다시 먼바다로 간 일이 있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