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빚 관련 콘텐츠 만들어 수익 유도
中 채무 문제 심각…고용난·과소비 등 문제
중국에서 이른바 '채무 인플루언서'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자신이 진 빚과 관련된 브이로그, 채권 추심 후기 등을 올려 관심을 끌고 광고 수익 등을 얻는 방식이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호에서 이같은 현상을 보도하며, 청년층을 중심으로 채무 콘텐츠가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같은 배경에는 높은 실업률과 경기 침체, 과소비와 무리한 대출로 인한 부채 증가가 있다. 경제 분석기관 가베칼 드래고노믹스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는 약 2500만~3400만명이 채무 불이행 상태에 놓여 있다. 이는 5년 전보다 두 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실제로 중국의 숏폼 플랫폼 '도우인' 등에는 "벤틀리를 몰고 700만달러(약 96억원)의 빚을 졌다"는 등의 영상이 다수 게시돼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채무액을 과장해 콘텐츠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하이의 한 직장인은 "팔로워 수를 늘리기 위해 채무를 1억위안(약 191억원)이라고 과장하는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부분의 채무 인플루언서는 수익을 내지 못한 채 채무 상환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 추심업체들은 가족, 지인에게까지 연락하는 '접촉 폭격' 방식으로 돈을 요구하며, 이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코노미스트는 "고용난과 실업 문제도 있지만, 청년들 가운데는 무리한 대출과 과소비로 빚이 불어난 경우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2023년 채권 추심 과정에서의 욕설, 협박, 개인정보 오용 등을 금지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법의 허점과 규제의 실효성 부족으로 큰 변화는 없는 상황이다. 채무자 단체 '채무자 연합'은 "추심 업체의 위협적 행태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숙박비 너무 올라 부담"…'1박에 3만원' 편의점으로 차박하러 간다 [日요일日문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0912402239152_1752032421.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