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주차 걱정 없겠네"…조회 수 폭발한 '현대차 영상' 뭐길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기아 EV3 발레 파킹 기술PR’ 영상 인기

차들이 가득 찬 주차장을 레이싱카처럼 달려와 빠르게 회전한 뒤 빈 주차 칸에 쏙 자리 잡는 기아 EV3. 그 아래에서 경쾌한 왈츠에 맞춰 한 쌍의 '주차 로봇'이 모습을 드러내고, 이내 빙글빙글 돌며 춤을 춘다. 주차로봇은 옆칸에 있던 다른 EV3 밑으로 들어가 가뿐히 차를 들고 주차장을 빠져나간다.


2대의 주차 로봇은 EV3를 주차한 뒤 차이코프스키 '꽃의 왈츠'에 맞춰 드리프트와 원돌이를 하며 마치 왈츠를 추는 듯한 움직임도 선보인다. 이는 실제가 아닌 AI가 만든 가상의 움직임이다.

현대차그룹의 주차 로봇이 전기차 EV3를 이동시키는 모습. /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의 주차 로봇이 전기차 EV3를 이동시키는 모습. /현대차그룹

AD
원본보기 아이콘

현대차그룹이 선보였던 '기아 EV3 발레파킹 기술' PR 영상이 온라인에서 역주행 인기몰이로 화제다. 600만회에 달하는 조회 수(12일 기준)를 기록 중이다.


이 영상은 지난해 10월 유튜브를 통해 처음 공개됐는데, 올해 4월부터 조회 수가 급증했다. 미국의 유명 소셜 플랫폼 레딧의 '사이언스 테크 엔지니어링 월드' 커뮤니티에 영상이 소개되면서다. 이후 글로벌 미디어 및 인플루언서 채널에서 주요 콘텐츠로 다뤘다.


영상 속 주차 로봇 서비스는 미국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싱가포르 혁신센터(HMGICS) 등에서 완성차 제조 공정에 실제로 활용되고 있다.

주차 로봇은 그룹의 부품 계열사인 현대위아가 제작했으며, 두께는 110㎜로 얇고, 라이다 센서를 갖춰 차 아래에서 바퀴의 크기와 위치를 인식해 들어 올릴 수 있다. 국내에선 지난해 6월 서울 팩토리얼 성수에서 관련 기술이 공개됐었다.


현대차는 "해당 영상이 글로벌48곳 이상의 미디어와 커뮤니티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채널에 게시됐고, 영상 조회 수를 집계하면 총 580만회 이상"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실제 존재하는 기술과 서비스에 AI를 접목해 실체성과 현실감, 재미까지 더해서 홍보 효과가 컸던 것 같다"고 분석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