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6월 동양하루살이 민원 43건
같은 기간 러브버그 민원은 5200건
올해 서울에서 발생한 동양하루살이 민원이 지난해 대비 6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접수된 동양하루살이 관련 민원은 4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40건에서 200건 가까이 감소한 수치다. 반면 같은 기간 붉은등우단털파리(일명 '러브버그')의 민원은 5200건에 달했다.
밝은 조명에 몰려들어 이른바 '팅커벨'로 불리는 동양하루살이는 2급수 이상의 깨끗한 물에 서식하며 인체에 직접적인 해를 끼치진 않는다. 다만 빛을 좋아하는 습성을 지녀 주택가나 상가 주변에 대량 출몰해 시민에게 불편을 끼친다. 민원은 주로 강동구, 성동구, 광진구 등 한강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서울시는 선제적 방역 조치가 민원 감소에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봤다. 시와 자치구는 유충 발생 시기로 예상된 지난 5월부터 수변 및 하천을 중심으로 사전 방제에 나섰다. 동양하루살이는 보통 5월 중하순부터 성충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성동구는 친환경 방제 장비인 해충 퇴치기 364대를 가동 중이며, 용산구는 전격 살충기를 지난해 12곳에서 올해 22곳까지 확대해 총 50대 운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계절적 요인 역시 방제 효과에 한몫했다고 진단했다. 동양하루살이 발생에는 기온과 강수량 같은 환경 요인이 결정적인데, 올해에는 봄철 강우량이 평년 대비 적었고 첫 더위 진입 시기가 늦어져 개체 수가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다만 동양하루살이는 생태 특성상 가을에도 한 차례 더 출몰할 수 있다. 8월 이후 기온이 내려가는 시기에 일시적으로 개체 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서울시는 불빛에 반응하는 하루살이 특성을 이용해 연구 기관과 함께 조명 기반 포집 장치를 개발 중이다. 특히 이 곤충이 청색광에 끌리는 특성을 가진 점을 고려해 청색광을 제거한 노란 조명 설치 등 대응 기술도 함께 실험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자식이 안 물려받는다는데"…이제 '남'에게도 기업 승계 가능해진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22008325229068_16768495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