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오픈AI, 사실상 윈드서프 뺏겨…구글 '핵심 인재'만 영입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인공지능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를 사실상 구글에 뺏긴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 전문 매체 더버지는 11일 오픈AI의 윈드서프 인수를 위한 독점 협상 기간이 최근 끝났으며, 구글이 윈드서프 최고경영자와 주요 엔지니어들을 영입했다고 전했다.

윈드서프는 AI를 활용해 개발자들의 코딩을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로 오픈AI가 약 30억달러에 인수를 추진해 왔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대상은 AI 코딩 스타트업
오픈AI, 인수 결렬되자마자
기회 낚아 챈 구글…지분 인수는 없어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인공지능(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를 사실상 구글에 뺏긴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은 지분 인수 방식 대신 최고경영자(CEO)와 핵심 인재들을 모두 영입하는 방식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더버지는 11일(현지시간) 오픈AI의 윈드서프 인수를 위한 독점 협상 기간이 최근 끝났으며, 구글이 윈드서프 최고경영자(CEO)와 주요 엔지니어들을 영입했다고 전했다. 윈드서프는 AI를 활용해 개발자들의 코딩을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로 오픈AI가 약 30억달러(4조1000억원)에 인수를 추진해 왔다.

인수가 무산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오픈AI와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 간 파트너십이 최근 불안한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윈드서프 인수 추진도 갈등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MS는 현재 오픈AI의 모든 지식재산(IP)에 접근할 수 있지만, 오픈AI는 MS가 윈드서프의 AI 코딩 기술까지 확보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앞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한 바 있다.


오픈AI의 윈드서프 인수가 무산된 틈을 이용해 구글이 윈드서프를 사실상 접수했다. 윈드서프 CEO 바룬 모한과 공동 창업자 더글라스 첸 및 주요 연구자들을 영입했기 때문이다. 구글 측은 "윈드서프 팀의 최고 AI 코딩 인재들이 구글 딥마인드에 합류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이들이 우리의 '에이전트 기반 코딩' 연구를 더욱 진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모한과 첸도 "우리는 일부 윈드서프 팀과 함께 구글 딥마인드에 합류하게 됐다"며 "지난 4년간 윈드서프가 구축해 온 성과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세계적인 팀과 함께 다음 단계를 시작할 수 있어 기대된다"고 밝혔다.

구글은 윈드서프의 지분을 인수하거나 회사를 통제하지 않고, 윈드서프 기술 일부에 대해 라이선스를 확보했다. 윈드서프도 구글 외에 다른 기업에 기술을 자유롭게 라이선스할 수 있게 된다. 약 250명 규모의 직원들은 대부분 그대로 남으면서 윈드서프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AI 코딩 툴 서비스를 계속 이어갈 예정이다.


구글의 방식을 두고 WSJ는 "우수 AI 인재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지분 인수가 아닌 인력 채용과 기술 라이선스 중심의 어크하이어(acquihire·인수와 채용의 결합 방식)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