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반지의 제왕' 감독 200억 쾌척…사라진 키 3.6m 모아새 복원 프로젝트 시작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유전적 친척' 에뮤·티나무에 DNA 삽입
영화 '반지의 제왕' 감독 200억원 지원
일부 전문가 "멸종 동물 복원 불가능"

15세기 뉴질랜드에서 멸종된 대형 조류인 자이언트 모아(giant moa)를 되살리려는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1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데일리 텔레그래프 등 보도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에 기반을 둔 생명공학 회사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는 최근 멸종에서 복원시키려는 동물 목록에 자이언트 모아새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자이언트 모아는 과거 뉴질랜드에 살았던 날지 못하는 거대한 새로, 큰 개체는 목을 폈을 때 키가 무려 3.6m에 달했다. 무게 230~250㎏에 이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새 중 하나인 이 새는 목과 다리가 길어 초목을 뜯기에 최적화됐다. 초식동물인 자이언트 모아는 나뭇잎과 잔가지, 과일을 주로 먹으며 뉴질랜드 내 광범위한 지역에 서식했다. 하지만 이 새는 약 1300년경 마오리족이 이주한 뒤 불과 100~200년 만인 15세기경 멸종했다. 멸종 이유는 마오리족의 과도한 사냥과 생태 교란 등이었다.

'반지의 제왕' 감독 200억 쾌척…사라진 키 3.6m 모아새 복원 프로젝트 시작
AD
원본보기 아이콘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는 자이언트 모아와 가장 가까운 조류인 에뮤(노랑타조)와 티나무(tinamou)의 DNA를 편집해 모아새를 유전적으로 만들어낸다는 구상이다. 이 회사는 뉴질랜드 캔터베리 대학의 나이 타후 연구 센터와 협력해 5~10년 이내에 자이언트 모아를 되살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먼저 자이언트 모아의 화석에서 DNA를 채취한 다음 이 새의 가장 가까운 친척인 에뮤와 티나무에 삽입하는데, 유전자가 변형된 새들은 알에서 부화한 뒤 외부와 단절된 '재야생화 장소'에 방사될 예정이라고 이 회사는 설명했다.


자이언트 모아 복원 프로젝트에는 영화 '반지의 제왕' 시리즈를 연출한 뉴질랜드 출신 피터 잭슨 감독이 약 1500만달러(약 206억원)를 지원했다. 잭슨 감독은 "몇 년 안에 다시 모아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은 그 어떤 영화보다 더 큰 즐거움과 만족을 준다"고 말했다.


콜로설의 발표에 대해 마오리 고고학자 카일 데이비스는 "이곳(뉴질랜드)의 가장 오래된 조상들은 모아와 함께 살았으며, 고고학, 구전 기록에는 이 새들과 그 주변 환경에 대한 지식이 담겨 있다"면서 "우리는 생태계 복원을 위한 대담한 비전을 콜로설의 최첨단 과학으로 풀어나갈 수 있다는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고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과연 자이언트 모아를 진짜로 복원해낼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빈센트 린치 미국 버펄로대학교 진화생물학 교수는 "멸종된 생물을 복원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단언했다. 이어 그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아마도 그들이 말하는 대로 에뮤가 모아와 같은 특징을 갖도록 유전적으로 만들어낼 수는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아가 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식 유전자를 가진 에뮤가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는 모아새 외에도 매머드, 도도새, 다이어울프 등의 멸종 동물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지난 4월 이 회사는 약 1만3000년 전에 멸종된 북아메리카 포식자인 늑대를 복원해 이 늑대의 특성을 갖도록 유전적으로 변형된 두 마리의 회색 늑대가 태어났다고 주장했다. 또 몇 주 전에는 매머드 특성을 갖도록 유전적으로 변형된 '털북숭이 쥐'의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