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임대차 계약했더니 연락 두절…민간임대주택 허위광고 주의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소비자원, 2년6개월간 상담 190건 접수
계약해제·해지 관련 피해 52%
"체결 전 신중히 확인해야"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민간임대주택 임차인 모집 광고를 보고 계약금을 지급했으나 실제로는 회원 가입비 또는 투자금 명목으로 확인돼 계약금을 돌려받지 못한 사례가 발생했다며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13일 밝혔다.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 투자 주의 당부 안내문. 포천시 제공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 투자 주의 당부 안내문. 포천시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2023년부터 지난달까지 최근 2년 6개월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민간임대주택 관련 상담은 총 190건으로 2023년 46건에서 2024년 85건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에도 59건이 접수돼 전년 동기 대비 40.5% 증가했다.

상담 사유를 살펴보면 '계약해제·해지 관련'이 98건(51.6%)으로 가장 많았고, '계약불이행' 20건(10.5%), '부당행위' 14건(7.4%) 순이었다.


주요 상담 사례로는 ▲민간임대주택 임대차 계약으로 알고 계약금 지급 후 해지를 요청하니 조합 출자금이라는 이유로 환불이 거부된 경우 ▲민간임대주택 관련 계약금 지급 후 사업승인이 없고, 건축 부지를 사용할 수도 없는 상태인 것을 알게 된 경우가 있었다. 계약 후 연락이 두절되는 경우도 있었다.


소비자원은 "정식 인허가를 거치지 않은 임의단체가 회원·투자자·발기인 등을 모집하는 단계임에도 이를 정식 조합원이나 임차인 모집 또는 분양인 것처럼 허위 광고하는 경우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간임대주택 관련 상담사유별 현황. 한국소비자원 제공

민간임대주택 관련 상담사유별 현황. 한국소비자원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이러한 단계에서는 사업계획 승인이 없고, 토지의 사용권원(토지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등 해당 부지에 건축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권리)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자칫 사업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경우 가입비·출자금 등의 금전적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특히 ▲사업계획 승인 전 '동호수 지정', '확정 보증금' 등으로 광고하거나 ▲시세보다 지나치게 저렴한 금액으로 계약을 유도하는 경우 주의해야 한다. 또 ▲잔여 세대가 얼마 남지 않았다며 계약을 종용하는 경우 ▲계약서 교부도 없이 계약금 선납을 요구할 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유사 사례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세종시, 고양시, 용인시, 천안시, 광주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누리집 등을 통해 민간임대주택 회원모집 관련 유의사항을 안내하고 있다.


계약 체결 전에는 반드시 해당 지자체에 ▲민간임대주택 사업계획 승인 여부 ▲민간임대주택 건축이 가능한 부지인지 여부 ▲계약서상 가입금 및 출자금 반환 규정이 있는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계약 체결 후에는 ▲계약서, 설명자료(브로셔 등) 및 거래내역 등 관련 자료를 보관해야 한다.


소비자원은 "정식 인허가가 없는 임의단체 회원 가입 시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고, 가입비·출자금 등의 반환에 대해서는 계약서 내용에 따라 당사자 간 민사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계약 체결 전 충분히 검토하고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