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달걀말이·김밥 잘못 먹고 줄줄이 병원행…역대급 폭염에 환자 속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달걀 등 식재료 취급·보관관리와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빨리 섭취하고 바로 섭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냉장 보관해야 하며 냉장고에 보관한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재가열한 후 섭취해야 한다.

식약처는 "소비자는 음식점 등에서 조리한 음식을 구입해 먹을 때 육류, 가금류, 달걀 등 식재료가 충분히 익었는지 확인해야 한다"며 "야외활동 시에는 보냉백,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10℃ 이하로 보관·운반해야 한다"고 말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7~9월 식중독 피해 집중
달걀 만진 손은 비누로 30초 이상 씻어야
먹기 전 육류 등 식재료 충분히 익었는지 확인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달걀 등 식재료 취급·보관관리와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여름철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으로 김밥 등 복합 조리식품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픽사베이

여름철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으로 김밥 등 복합 조리식품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11일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은 총 204건 발생했고 환자 수는 7788명으로 집계됐다. 발생 건수는 여름철에 집중됐는데 7월부터 9월까지 발생한 식중독 건수는 전체의 약 52%(107건, 4542명)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모넬라 식중독이 발생한 장소는 음식점이 129건으로 63%를 차지했다. 이어 집단급식소 35건(17%), 즉석판매제조·가공업 10건(5%) 순으로 나타났다.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으로 달걀말이, 달걀지단 등 달걀 조리식품과 김밥, 도시락 등 복합조리식품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살모넬라는 가금류·포유류의 소화관 또는 물과 토양에 존재하는 병원성 세균이다. 살모넬라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발열,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어 달걀, 알가공품 등 식재료 취급·보관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달걀을 구입할 때는 껍질이 깨지지 않은 신선한 상태의 달걀을 선택하고, 달걀에 표시된 산란일자 및 소비기한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구입한 달걀은 즉시 냉장고에 넣어 다른 식재료와 닿지 않게 구분해서 보관한다. 특히 음식점, 집단급식소 등에서는 대량으로 구입해 상온에 장시간 방치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필요한 만큼만 구매해 보관온도를 지켜 짧은 기간 안(2~4주)에 소비하는 것이 좋다.


음식을 조리할 때 달걀·육류·가금류를 만지거나 달걀물(액란) 등이 묻은 손은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 등 세정제로 30초 이상 깨끗이 씻어야 한다. 또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른 식재료나 조리된 음식, 조리기구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살모넬라는 열에 약해 가열조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육류, 가금류, 달걀 등을 날 것으로 섭취하지 말고 중심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해 섭취하고 달걀은 가급적 노른자와 흰자가 모두 단단해질 때까지 익혀 먹는 것이 좋다.


2020~2024년 월별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현황. 식약처

2020~2024년 월별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현황. 식약처

원본보기 아이콘

칼·도마 등 조리기구는 열탕 소독하거나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를 사용하여 세척·소독하고 채소용, 육류용, 어류용 등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한다. 달걀물 혼합 시에는 용기를 주기적으로 세척·소독하고 김밥과 같이 다양한 식재료를 이용해 조리하는 경우에는 위생장갑을 수시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또 음식점, 집단급식소 등에서는 구토, 설사, 복통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이 있는 조리종사자가 조리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3일간은 조리에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빨리(2시간 이내) 섭취하고 바로 섭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냉장 보관해야 하며 냉장고에 보관한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재가열한 후 섭취해야 한다.


식약처는 "소비자는 음식점 등에서 조리한 음식을 구입해 먹을 때 육류, 가금류, 달걀 등 식재료가 충분히 익었는지 확인해야 한다"며 "야외활동 시에는 보냉백,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10℃ 이하로 보관·운반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