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인상 후 엔비디아 47% 상승"
"인플레 없어…Fed, 금리 빨리 내려야"
백악관은 Fed 본부 리모델링 비용 조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 강세를 이끌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금리 인하 요구를 거부하는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에게 신속한 통화완화를 재차 압박했다. 같은 날 백악관도 Fed 본부 건물 리모델링 예산을 문제 삼아 파월 의장의 방만한 운영을 지적하는 공식 서한을 발송했다. 관세발(發)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신중한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하는 파월 의장을 향한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이 도를 넘어섰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트럼프의 관세 이후 엔비디아는 (주가가) 47% 상승했다"며 "기술주, 산업주, 나스닥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찍었고 가상화폐는 지붕을 뚫었다"고 썼다.
그는 "미국은 수천억달러의 관세 수입을 올리고 있다. 이제 미국은 돌아왔다"며 "Fed는 이 같은 강세를 반영해 신속하게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인플레이션은 없다"고 단언하며 물가 상승 우려로 금리 인하에 신중한 Fed에 통화완화 재개를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후보 시절부터 금리 인하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을 우려해 당분간 관망 기조를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취임 이후 파월 의장을 향해 "너무 늦는 남자", "멍청이" 등의 표현을 써가며 금리를 인하하라고 공세를 노골화하고 있다. 그는 전날에도 SNS를 통해 Fed가 금리를 3%포인트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가운데 백악관도 Fed의 건물 관리와 재정 운용을 문제 삼으며 파월 의장을 직접 겨냥해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은 이날 SNS 엑스(X·옛 트위터)에 글을 올리고 "Fed가 본부 건물 리노베이션에 현재 25억달러를 투입했는데 이는 초기 (예상) 비용보다 약 7억달러 더 들어간 것"이라며 "파월 의장이 Fed를 심각하게 잘못 관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Fed는 2023 회계연도에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한 이후 현재까지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며 리노베이션 비용의 진상 파악을 위해 파월 의장에게 보낸 공식 서한을 X에 공개했다.
보트 국장은 특히 허영과 사치의 대명사로 꼽히는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을 언급하며 "베르사유 궁전도 오늘날 달러 가치로 환산하면 (짓는 데) 30억달러는 들었을 것"이라고 비꼬았다.
트럼프 행정부의 노골적인 압박 속에 Fed는 오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현재 연 4.25~4.5%인 기준금리 인하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Fed 내부에서도 금리 인하 시점을 둘러싼 의견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 전날 공개된 6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Fed 위원 19명 중 10명은 올해 최소 두 차례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2명은 한 차례 인하, 나머지 7명은 올해 내내 금리 동결을 전망하는 등 입장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사실은 고소득자…배신감 느껴" 반전 연봉으로 포털 달군 '짱구 아빠' [일본人사이드]](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1115590342973_175221714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