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0일 "미국 측이 우리가 계속 주장하는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부분에 대해 굉장히 관심을 보이고 호응을 좋게 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이 특히 관심을 보인 제조업 협력 분야로는 조선과 반도체를 꼽았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5∼10일(현지시간) 워싱턴 DC를 방문한 여 본부장은 이날 귀국길에 인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조선, 반도체 등 미국 입장에서 산업 경쟁력과 국가 안보 측면에서 굉장히 중요한 산업에 대해 한국 기업들이 어떻게 미국과 협력을 하면서 미국의 제조업 재건을 도울 수 있을지 굉장히 관심이 많다는 것을 느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에 댄 설리번 알래스카주 상원의원도 만났다"면서 "한국 측에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참가하기를 굉장히 (원하고)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상업성 검토가 추가로 필요한 만큼 향후 논의를 더 이어갈 방침이다.
미국이 25% 상호관세 부과를 오는 8월1일부터 적용하기로 유예 결정을 하면서, 약 3주의 추가 협상 기간을 확보하게 됐다. 여 본부장은 이번 방미 기간에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등을 만나 현재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고 있는 자동차·철강 등의 품목관세 인하와 부과를 예고한 25%의 상호관세 면제 등을 목표로 협상을 진행했다. 그는 "사실 3주가 굉장히 짧은 시간"이라며 "이제 본격적으로 미국이 관심 있어 하는 관세와 비관세, 한국이 관심 있어 하는 이슈들에 대해 본격적으로 (협상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 적자를 구조적으로 어떻게 줄일 수 있느냐에 굉장히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며 "비관세 장벽, 제조업 협력 등이 다 같이 가야 단기·중장기에 어떻게 무역 적자를 체계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여 본부장은 미국의 비관세 장벽 완화 요구 등과 관련해 "국내적으로 민감한 부분은 최대한 방어해야 하지만, 실용주의적 측면에서 제도 개선이나 할 수 있는 부분들은 (개선하는) 전략적인 판단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잠깐 이체만 해주시면 돼요" 말에 속아 내 계좌가 막혔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1608135447142_1752621233.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