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024년 토지소유현황 통계
개인 보유 토지의 3분의 2가량을 60대 이상이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20여년 전에는 45% 수준이었는데 사회 전반에 걸쳐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지주의 연령대도 올라갔다.
1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기준 토지소유현황 자료를 보면, 60대가 가진 토지는 1만3987㎢로 개인 보유분 전체의 30.2%를 차지했다. 70대가 9610㎢로 20.8%, 80대 이상은 6753㎢로 14.6%를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60대 이상 비중이 65.6%에 달했다.
고령자 비중은 해가 갈수록 커졌다. 5년 전인 2019년의 경우 60대 이상 비율이 58.8% 수준이었다. 토지 소유 현황을 처음 파악하기 시작한 2006년만 해도 60대 이상은 45.1% 정도였다. 당시에는 전체 연령대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큰 집단은 50대(26.6%)였다. 반면 30대 이하 비중은 2006년 9.1% 수준이었는데 지난해에는 4.1% 수준으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상위권 집단의 쏠림현상은 여전했다. 토지소유 세대를 10분위로 나눠 분석해보니 개인 보유 상위 10%가 가진 토지가 3만6251㎢로 개인 보유분의 78.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의 경우 상위 10%가 보유한 비중이 92.3%, 비법인(종중·종교단체)은 68.9%에 달했다. 2006년에는 상위 10% 세대가 가진 토지 비중이 전체의 76.3%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토지를 소유한 인원은 1965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38.4% 수준으로 나타났다. 2006년에는 1367만명 수준이었는데 40% 이상 늘었다. 세대별로는 전체 2412만 세대 가운데 1530만 세대로 63.4%에 달했다. 남성이 54.5%, 여성이 45.5% 수준이다.
개인이 가진 토지가 4만6258㎢였고 법인이 7404㎢, 비법인은 7823㎢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목별로는 개인은 임야가 57.6%로 가장 많았고 농경지(34.4%), 대지(5.8%) 순이었다. 법인은 임야가 46.8%로 가장 많았고 농경지(13.6%), 공장용지(12.2%) 순이었다. 비법인은 임야 비중이 92.4%로 높은 편이었다.
거주지역별로 구분하면 타 시도에 거주하는 비율이 전국 평균 43.6% 수준이다. 관외 거주자 비율이 높은 곳은 세종으로 59%에 달했다. 가장 낮은 곳은 서울로 20.6%로 파악됐다. 토지소유현황 통계는 전국 지자체에서 등록한 지적공부(토지·임야대장) 정보를 기초로 매해 작성한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거긴 연봉 7억, 韓대기업은 건너뛸래요"…주최측도 깜짝 놀란 서울대생 '문전성시'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1711054349517_1752717943.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