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北, 첫 다섯쌍둥이 태어나…이름은 '충·성·다·하·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北도 저출생 문제 고심
다둥이 사례도 선전 도구로

북한에서 처음으로 다섯쌍둥이가 태어나 화제가 되고 있다. 북한도 저출산 문제 해결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다둥이 가족을 선전하며 출산 장려에 공을 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에서 처음으로 다섯쌍둥이가 출생한 소식이 전해졌다. 연합뉴스

북한에서 처음으로 다섯쌍둥이가 출생한 소식이 전해졌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연합뉴스는 10일 재일본조선인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에 지난달 평양산원을 퇴원한 다섯쌍둥이의 근황이 실렸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조선에서 처음으로 다섯쌍둥이가 출생한 소식은 지금도 사람들의 화젯거리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 다섯쌍둥이는 지난 1월 31일 태어났으며 딸 셋, 아들 둘로 알려졌다. 매체는 "다섯쌍둥이와 산모에 대한 소생과 회복은 세계적으로 난문제로 제기되고 있다"며 "국내에서 다섯쌍둥이 출생이 처음인 것으로 하여 평양산원 의료집단은 매우 어려운 고비를 넘어야 했다"고 밝혔다. 다섯 아이의 현재 몸무게는 5kg 안팎으로 건강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들의 부모는 모란봉구역 장현동에 사는 박경심(28), 평양상업봉사대학에 다니는 학생 손충효(32)로 알려졌다. 이들은 다섯 아이의 이름을 손충정·손성룡·손다정·손하룡·손리정으로 지었다. 가운데 글자를 합치면 '충성다하리'가 된다. 자녀 이름에도 최고지도자를 향한 충성심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북한의 사회상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북한에서 처음으로 다섯쌍둥이가 출생한 소식이 전해졌다. 연합뉴스

북한에서 처음으로 다섯쌍둥이가 출생한 소식이 전해졌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북한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저출산 문제 해결에 고심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5년 북한의 합계출산율은 1.59명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0.65명보다는 높지만, 인구 유지를 위한 출산율(2.1명)은 1990년대부터 밑돌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다둥이 가족' 사례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등 출산 장려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북한의 대외선전용 월간지 '금수강산' 7월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연구소 양성일 실장과의 인터뷰를 실었다. 그는 "인구 고령화에 대처하여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인구구조대책들을 찾아 해당 기관들에 건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도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복지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터뷰에 따르면, 북에서도 자녀가 3명 이상인 다자녀 세대에는 특별보조금이 지급되고 있다. 상업, 편의 봉사, 교육, 보건 등 여러 부문에서 다자녀 세대 우대 조치들을 계속 늘려나간다는 계획을 내놨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